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3. 백설공주 신드롬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백색증 등 질병을 없애는 문제에 집중해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려는 연구가 많다.
반대
로 동양에서는 가능한한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려는 연구가 많다. 이는 근대 이후 강대국이었던 서양에 대한 동양인의 ‘동경’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사실 흰 피부라고 해서 우리가 타고난 피부가 ... ...
삔 발목에 발목 잡히지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또 인기(引氣), 즉 통증을 느끼게 하는 기운을
반대
쪽으로 옮긴다는 개념을 이용해 발목
반대
쪽에서 그에 상응하는 부위를 눌러서 똑같은 자극을 준다.무엇보다도 발목을 삐었을 때는 완전히 나을 때까지는 되도록 돌아다니지 않는 것이 좋다. 침을 맞은 뒤 통증이 없다고 발목에 무리를 주면 회복이 ... ...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인정되고 있으며 동일한 질환을 여러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예도 있고
반대
로 한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여러 종류의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은 근육을 구성 하고 있는 온 단백질의 40%를 차지하는 구조단백질인 미오신이다 이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결합이므로 약 8000cal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한다. 하지만 아무리 관측해도 태양의 질량과 부피는 변함이 없었다.그런데 두 이론에
반대
해 태양이 식어가고 있다는 주장하는 사람이 나타났다. 그가 바로 윌리엄 톰슨이다. 영국에서 태어난 톰슨은 어릴 적부터 팽이와 비눗방울을 가지고 놀면서 그 원리를 고민하는 등 과학에 재능을 보였다.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해요. 그 사이 온도에서는 암수가함께 태어납니다. 악어의 한 종류인 앨리게이터는
반대
로 33℃ 이상에서 부화하면 모두 수컷이 되고 30℃ 이하에서 부화하면 모두 암컷이되요. 온도에 따라 성이 달라진다니 정말 신기하지요?모두 닮았어! 우린 모두 닮았어!이렇게 생명체는 생김새도 다르고 저마다의 ... ...
특집4. 앳된 얼굴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여성들 사이의 앳된 여성은 어떨까? 이 경우도 동전의 양면이다. 보호받기는 쉽겠지만
반대
로 공격에도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렇게 진화심리학은 최근의 동안 열풍에 대한 가장 깊은 설명을 제공한다. 이제 ‘어린 신부’의 문근영에게 열광했지만 ‘원초적 본능2’의 샤론 스톤에게는 ... ...
군대는 아무나 가나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경우다. 오른손잡이는 시력이 오른쪽 눈 0.4 미만 또는 왼쪽 눈 0.2 미만(왼손잡이는 그
반대
)이면 면제인 5급 판정을 받는다. 그러나 시력장애는 최대 교정시력이 기준이므로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면 현역 판정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일부러 한쪽 눈에만 라식 수술을 해 짝눈을 만들어 오는 경우는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11㎏이나 늘어난 거대한 몸집이었다.▶ 그런데작년 이 감독의 영화‘슈퍼사이즈 미’에
반대
하여 오로지 맥도날드 음식만 세 달간 먹으며 16㎏의 체중을 뺀 여성도 나타났다. 그녀는 하루에 필요한 칼로리를 계산해 샐러드와 감자튀김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식단을 짠 것. 어느 쪽이 진실인지를 떠나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같다는 법칙 이탈리아의 A 볼타에 의해 발견되었다절연된 금속을 붙였다 떼면 서로
반대
부호로 대전(帶電)되는데, 이런 금속을 접촉전위차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것 볼타계열이라고도 한다교류회로의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의 곱으로 표시되는 피상전력(皮相電力)의 단위 기호는 VA이다회로에 1V의 ... ...
미디어, 이제는 느껴라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관객이 무서운 장면에서 너무 놀라면 영화는 남녀의 사랑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반대
로 관객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영화는 점점 더 잔인하고 무서워진다. 관객의 심리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영화 전개에 반영되는 것이다. 이것이 디지털미디어 및 콘텐츠 연구실의 임창영 교수팀이 그리는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