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전달하는 단백질 등으로 구성된다.소화관은 두뇌의 신호를 어떻게 감지할까. 장 조직
내부
의 두 층에 걸친 신경조직(근층간 신경총과 점막하 신경총)이 두뇌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두뇌가 이곳에 있는 소수의 '명령 뉴런' 에게 메시지를 보내면, 이 뉴런은 다시 '중간 뉴런' 에게 신호를 보낸다.이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건물에 기둥이나 보가 없이 벽과 바닥판만으로 구성된 건축을 말한다. 이 구조는 건물
내부
가 넓어 공간 이용의 측면에서 큰 매력을 끄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이 별로 뛰어나지 못한 구조다. 더욱이 이전에는 15층 정도의 고층 아파트에 사용되다가 근래에는 20층 이상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분출되는 제트현상 등을 관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혜성의 머리부분 만을 확대해서 그
내부
에서 이뤄지는 활발한 입자들의 운동을 확인할 수 있다. 아무런 관측장비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도 햐쿠다케혜성을 관측할 수 있다. 맨눈에도 보이기 때문이다. 시골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도심에서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Player)를 별도의 윈도로 실행시켜 보아야 하지만, 플러그인은 현재 보고 있는 HTML문서의
내부
에서 동화상이 마치 문서의 일부분처럼 돌아간다. 네트스케이프와의 일정한 규약에 의해서 프로그램을 짜면 어떠한 것도 네트스케이프 안으로 플러그인될 수 있다. 이 기능은 네트스케이프사가 브라우저 ... ...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존재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일본의 고베 지진도 판 경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대륙
내부
의 활성단층 때문에 발생했다는 분석도 있다. 이제 한반도는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일 수 없다.실제로 한반도의 지진 활동 역사를 보면 규모 6.5 이상의 많은 지진들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했다. 최근 ... ...
수천년 이어온 동양의 전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사회활동의 폭이 증가하고 쉽게 피로하지 않으며 강한 의지력을 나타낸다.즉 병원균이나
내부
장기에서 일어나는 병적상황에 대처하는 면역기능이 강화돼 질병에 걸리지 않는 저항력을 얻게 된다.최근에 이뤄지고 있는 식물약제에 대한 동서양의 연구활동은 식물약제대 대한 효능을 과학적으로 ... ...
1. 홈웨어 없는 홈PC 속 빈 강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간과돼 왔다. 최근 등장하고 있는 일체형 홈PC들은 그 대표적인 예다. 이름은 홈PC지만 그
내부
에는 유용한 홈소프트웨어들이 별로 없다.홈소프트웨어는 우수한 성능을 싼 값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하드웨어를 이용해 컴퓨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양쪽의 밀도가 중간 점이 되는 지점을 계면으로 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계면은 물질
내부
와는 달리 높은 에너지 상태에 있는데, 이 에너지를 계면 에너지 혹은 계면 장력이라고 부른다.순수한 물질의 표면장력은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값을 갖는다. 그러나 대개는 소량의 불순, 특히 계면활성제와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겪는 모든 일상사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돼 있다. 또한 각 항목간의
내부
적 정보 연계가 뛰어나 단순한 정보의 기록과 활용 차원을 넘어서 다중 검색을 통한 정보의 재구성도 가능하다. 할일/일정의 기능에서는 단순한 일정의 확인 뿐만 아니라 일의 중요도에 따라, 또는 마감일이나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않다. 그래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 자율형의 장점. 그러나 에너지를 로봇
내부
에 내장해야 하고 선박과의 통신속도가 늦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해 행동할 부분이 많다. 그래서 자율형에는 인공지능과 같은 특수한 설계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자율형 무인탐사로봇이 이룬 성과들은 적지만 2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