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스페셜
"
전문가
"(으)로 총 3,34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시설을 가동하기 위해 2003년 1월 두 번째로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한 바 있다.
전문가
들은 ‘방사화학실험실’이라고 불리는 이런 재처리 시설이 북한 핵시설 해체의 ‘키(key)’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 부장은 “강한 방사선을 내는 사용후핵연료와 플루토늄을 직접 처리하는 시설”이라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식 얄팍할수록 자신감은 더 커진다
2018.06.09
것이다. 어떤 분야에 대한 책을 한 권 읽고나서 자신은 그 분야를 통달했다며 마치
전문가
인 것처럼 의기양양하게 이야기하던 사람을 보고 신기하다고 느꼈던 적이 있다. 아무것도 모르는 것보다 ‘조금 아는 것’이 어쩌면 더 해로운 것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이 정도면 많이 알고 있다고 느낄 ... ...
도시 곳곳에 과학자 거리-연구단지… “평양이 달라졌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북한에서 급증하고 있는 특허 출원도 이런 연구 성과 상업화 정책과 관련이 깊다는 게
전문가
들의 설명이다. 통일과학기술연구협의회 회장인 최현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책기획본부장은 “북한은 실용화에 강하다. 한국의 첨단과학과 만나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남북 표준 단위 체계도 통일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정식명칭과 진행사항조차 제대로 확인된 바가 없다. 2002년 북한의 측정
전문가
2명이 독일 물리기술연구원(PTB)에서 훈련받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2012년 8월 기준 내각에 있는 국가품질감독위원회 산하 중앙계량과학연구소(CIM)가 조직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을 뿐이다. 이후 조직이 어떤 변화를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화산 폭발 이듬해인 2011년 3월에는 남한의 문산과 북한의 개성에서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회의가 열렸다. 그러나 북한이 막판에 거부해 종결됐다. 이 책임연구원은 “시추를 통해 핵실험 등 북한의 지질 활동 전반을 파악할 수 있다”며 “시추 연구에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생각해 거부했던 것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수준이 높은 명상”이라고 말할 정도로 추상적이다. CD를 따라 하는 걸로는 어렵고
전문가
의 도움을 받아 실시해야 한다는 말이다. 필자는 수년 전 취재로 알게 된 서울의 한 곳에서 잠깐 마음챙김 명상을 배우기는 했는데 집에서 다니기도 멀고 해서 계속하지 못했다. 집 근처에 혹시 배울 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주관한 ‘신체활동을 위해 필요한 다량영양소(macronutrient)에 대한 최신 과학’을 주제로
전문가
들이 토론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이기 때문이다. 감자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이다. 사진 GIB 제공 엘리트 체육계도 고지방 식단 유행 “지난 40~50년 동안 행해진 많은 연구들이 한결같이 지적하는 건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박사는 한국과 인연이 깊지는 않은 편이다. 1990년 가을과 2000년 여름 두 차례 찾아 대중과
전문가
를 대상으로 강연을 한 게 전부다. 그가 지도한 학생 중에 한국인 제자는 없었다. 하지만 많은 한국 학자가 그와 대화하거나 그를 학회에서 만난 기억을 강렬하게 추억했다. 그는 6년 전 런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학술지를 탐독한 나보코프는 부전나빗과에 속하는, 블루(blue)라고 통칭되는 나비의
전문가
로 남미에 자생하는 블루 나비 연구의 선구자다. 같은 해 주간지 ‘뉴요커’에 단편을 실었고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자전 에세이를 12편 발표했다. 1951년 여기에 세 편을 더해 자서전 ‘Conclusive Evidence(결정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이들 감귤류의 족보는 어떻게 되는 걸까. 흥미롭게도 이 질문에 대해서 감귤류
전문가
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다만 만다린(mandarin)과 포멜로(pomelo 또는 pummelo), 시트론(citron) 세 가지가 원종이고 여기서 다양한 감귤류가 나왔을 거라고 보고 있다. 만다린은 귤이 속한 감귤류로 크기가 작고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