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주년이었던 작년에는 각종 기념행사가 세계 도처에서 개최되었고, 한국에서도 튜링 탄생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열렸다. 튜링은 어떤 수학자였을까? 암호해독의 달인알란 튜링은 1912년에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1954년 42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했다. 20세기 초반을 살다간 불세출의 천재 수학자이고, ...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사무실 쪽으로 조심스럽게 다가가 보니 말 소리가 들렸다.“캬캬. 중앙 장치의 에너지가 100에 다다르면 이 행성의 중력은 완전히 역전될 거야. 그럼 우리 별 사람들이 살기 적당한 환경으로 전환되며 행성간 이동 통로가 만들어지겠지. 지금은 이 행성의 원주민들을 섣불리 지배할 수 없지만, 행성간 ...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좌우로 움직이면 몸과 땅이 수평을 이뤄서 공중에서 오래 버틸 수 있지요. 이렇게 해서 100m나 날 수 있답니다.마지막 주인공은 하늘을 나는 황금나무뱀이었군요! 이렇게 런닝뱀의 미션을 모두 완수했어요. 같은 뱀인 저도 잘 몰랐던 친구들을 많이 만날 수 있어서 즐거웠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재미있게 즐기려면, 잘 만들어진 빙고판은 필수다. 이때 ‘함수’를 이용하면 10장, 100장의 빙고판도 10분이면 뚝딱 만들 수 있다. 빙고판을 제작하려면 컴퓨터에서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 엑셀은 +, -, ×, ÷와 같은 사칙연산은 물론, 꽤 복잡한 함수 기능도 갖추고 있다.빙고판을 만들기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혹은 수만 종의 비번역 RNA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중 기능을 잘 알고 있는 것은 100여 종 미만이다.비번역 RNA 연구는 현대 생물학의 주요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비번역 RNA 중 최근 10여 년간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필자도 연구하고 있는 ‘마이크로 RNA(microRNA)’다.마이크로 RNA는 ... ...
- 우주지도분쟁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기자는 앨런 튜링 100주년 기념 기사 취재차 영국 런던에 간 기회를 이용해 그리니치 천문대를 방문했다. 경도의 기준인 본초자오선이 지나는 곳이다. 이 선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갈수록 동경 몇 도, 서쪽으로 갈수록 서경 몇 도 하는 식으로 위치를 정한 것이다. 남들처럼 본초 자오선 양쪽에 각각 한 ...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우리 수영이 수학 시험 성적 좀 볼까? 아니 이런! 하나 틀렸네? 하나만 더 맞히면 100점인데 어쩌다 틀린 거야~.”“문제가 이상해요~.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 안 돼요~.”“문제가 잘못될 리가 있나. 아빠가 가르쳐 줄게. 어디 보자…. 사과 다섯 개가 있다. 그 중 두 개를 철수에게 줬다…. 뭐? 음식을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었다. 위원회는 2007년 발표한 기후 변화 4차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0년 간 지구 온도가 0.74도가 올랐다며, 앞으로 2도만 더 올라도 생물종이 대량으로 멸종하면서 전 세계에 재앙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잠깐! 지구는 점점 따뜻해지는데 웬 폭설?따뜻하면 눈이 아니라 비가 ... ...
- INTRO. 당신의 뉴턴은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아인슈타인이 1905년 특수상대성이론 발표에 이어 1916년 일반상대성 이론을 발표한 뒤로 1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이 끝까지 반대했던 양자역학은 이제 현대물리학의 정설로 자리매김했다. 작년(2012년) 7월에는 “힉스 입자를 ‘거의’ 찾았다”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됐다.빛 알갱이의 에너지는 아주 작아서, 30W의 전구에서 1초 동안에 1020 개, 즉 100억 × 100억 개의 광자가 방출된다. 고전물리학은 빛이 알갱이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도 아주 많은 물리현상을 설명할 수 있었다.그러나 흑체복사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문제였다. 이를 플랑크가설이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