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류
중생계
속세
인간
사람
사바세계
속세계
d라이브러리
"
인간세계
"(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생명의 신비는 인간들에게 항상 그와 비슷한 것을 창조하도록 유혹해왔다. 수많은 설화와 전설 속의 신은 인간이 상상력만으로 고안한 최초의 인공생명체였다. 인공 생명체를 만들어보려는 시도는 기계론적인 세계관이 싹트기 시작한 산업혁명 초기부터 본격화됐다.주목할 예로 1735년 프랑스인 ... ...
꿈 길몽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한해가 저물어갈 무렵 사람들은 "새해에 용꿈꾸라"는 덕담을 주고받는다. 용꿈이나 돼지꿈은 과연 행운을 가져다줄까. 아니면 현실의 소망이 꿈에 반영된 것일까. 꿈을 해석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그리고 꿈꾸는 동안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살펴보자.정월 초하루 아침 잠에서 깬 40대 직장 ... ...
3. 역사 속에서 사라진 날짜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현재 우리가 쓰는 태양력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태양력이 구체화되기 시작한 것은 고대 로마시대부터다. 고대 서양에서는 한 해가 시작하는 날을 춘분날로 정했다. 때문에 춘분이 들어있는 달을 1월로 정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는 동지날을 기준으로 해 동지가 들어있 ... ...
최다 비행기록 세운 콜롬비아호 해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컬럼비아호(STS-87)가 16일 동안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돌아왔다. 컬럼비아호로서는 24번째 비행이며, 우주왕복선으로서는 88번째 비행이다.이번 승무원은 모두 6명. 그런데 승무원들의 국적과 인종이 제각각 달라 화제를 모았다. 선장 케빈 크레겔(41세)과 조종사 스티브 린드세이(47세)는 미국인으로 ... ...
3. 인간과 기계를 통합시킨 사이버네틱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위너가 발표한 사이버네틱스 이론은 인간과 기계를 하나의 공통이론으로 설명하려던 과학계의 숙원을 해결함으로써 이 분야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되먹임 현상이 일어나는 시스템은 모두 동일한 차원에서 설명이 가능해진 것이다.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하면 어떤 사람들은 자동화 ... ...
5. 21세기 비트혁명, 생물과 무생물 경계 허문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40년대를 풍미한 천재 과학자들이 남긴 유산은 실로 대단하다. 이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똑똑한 기계'의 양산되면서 인간은 상당 부분 '몸 쓰는 일'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그뿐인가. 마샬 맥루한에 의해 '지구촌'이란 단어가 등장한 지 30년 만에 인간의 감각은 우주까지 확장됐다.화성에 도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과거는 빛의 속도로 우리에게서 멀어진다. 과거를 비춘 빛은 빠른 속도로 우주 공간을 가르며 먼 우주로 내달린다.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먼 과거가 거기에 있다. 태양계의 9개 행성을 지나 우리은하를 벗어나면 80년대 그룹 퀸의 목소리가 들리고, 다른 은하를 거쳐 오리온성운의 아름다운 구름을 벗 ... ...
20세기 슈퍼영웅 대해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아마존 여왕 힙폴라이트의 딸로서, 타고난 전사로서의 기량 때문에 아마존족에서
인간세계
로 보내지는 특사로 선발.■무기: -총알이 튕겨나가는 은색 팔찌-포로가 절대적으로 진실만을 말하도록 유도하는 황금 올가미■약점: 평화적인 해결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이 점을 이용하는 ... ...
3. 16평 우주아파트, 미르의 입주자들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수천개의 인공위성과 더불어 우주를 탐험했던 우주영웅은 유리 가가린을 비롯해 수백명에 이른다. 그 중에서도 미르의 우주영웅들은 더욱 돋보인다. 이들은 수백일 이상 우주에 머물렀던 진정한 우주인이었기 때문이다. 우주에는 사람이 살고 있다. 이들은 날마다 10여차례씩 지구를 돌면서 우주 ... ...
성과학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인간의 성이 지닌 의미를 단순히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보는데 그치지 않고 사회적 맥락에서 파악한 것을 성문제(sexuality)라 한다. 성문제에 대해 학제간 연구를 하는 분야가 성과학(sexology)이다.금욕의 역사성과학은 19세기에 그 기초가 잡혔다. 성문제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 더디게 시도되었던 이유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