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말
"(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화성 탐사는 SF다. 그것은 인간이 끊임없이 꿈꿔온 결과이다. 화성 탐사 이전 인류가 꿈꿔온 화성의 모습을 되새겨 본다.왜 화성일까? 그 이유를 궁색하게 지구에 가장 가까이 행성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언론보도도 있지만 그것은 옳지 않다. 우리에가 가장 가까운 이웃은 금성이기 때문이다. 천 ... ...
잘 뿜는 차가 잘 달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연료가 무엇이든 현재 사용되는 모든 자동차는 내연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자동차는 휘발유나 경유 등을 엔진 내부에서 연소시켜 생긴 힘을 이용해 움직이며, 이 때 배기가스를 엔진 밖으로 내보낸다.배기가스는 연료가 실린더 내에서 연소해 고온, 고압의 가스로 변한 뒤 팽창함으로써 일을 마치 ... ...
전국연합 모색하는 고교과학서클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학교가 뒷전으로 미룬 '열린교육'이 학생 스스로의 힘으로 피어나고 있다. 친구들끼리, 서클과 서클이 연합해 만든 과학탐구모임 '전국고등학교 과학서클 연합'이 바로 그것이다.고등학생들이 전국적인 조직을 갖추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지난 7월 간담을 서늘하게 했던 폭력서클 ‘일진회 ... ...
식인상어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상어는 조용히 뒷지느러미를 세우고 다가와 갑자기 90도로 윗턱을 쳐든다. 여러겹으로 난 날카로운 이빨들을 보는 순간 몸은 덜컥 두동강이 난다. 3억5천만년 전에 나타난 늙은 어류가 바다를 지배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상어의 뛰어난 감각기관과 무기들을 살펴보자.상어는 물장구를 좋아한다. 올 ... ...
유럽정원의 꽃, 물 축제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정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물이다. 여러 모양의 분수와 계단식 폭포가 곳곳에 꾸며지고, 연못의 잔잔한 수면이경치를 더욱 환상적으로 만든다.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진 유럽의 대표적인 정원을 돌며 물의 유희를 함께 즐겨보자. 불새분수에서 경복궁 향원정까지 멋과 과학의 조화우리가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2199년 1월 유엔. 삼엄한 경계 하에 비공개 회의가 열리고 있었다. 참석자들은 지구방위 위원회에 속한 20개국의 대표들이었다. 벌써부터 얼굴이 붉게 물들어 있던 미국 대표가 다시 열변을 토하기 시작했다.“도대체 뭘 망설이는 겁니까. 지금 이 시간에도 그것은 맹렬히 지구로 향해 오고 있어요. 당 ... ...
② 자연요법7: 향기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인간의 후각세포는 ‘두뇌의 작은 가지’라고 불릴만큼 반응속도가 빠르며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예를 들어 향긋한 냄새를 맡으면 식욕이 자극돼 침이 입에 고이는 것이나, 특정한 냄새가 과거의 한순간이나 그리운 사람을 연상시키는 것은 향기의 입자가 후각세포를 자극해 곧바로 뇌로 전 ... ...
② 자연요법7: 카이로프랙틱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미국을 여행하다 보면 거리마다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이라는 간판이 많이 눈에 띈다. 이 말은 그리스어에서 파생했는데, ‘손’을 뜻하는 ‘카이로’(chiro)와 ‘치료’를 뜻하는 ‘프락토스’(praktos)라는 말의 합성어다. 즉 약과 수술에 의존하지 않고 주로 의사의 손으로 여러 가지 질환을 치료 ... ...
최초 자동차는 시속 3km의 세 바퀴 수레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20세기를 대표하는 문명의 이기 자동차. 2백년이 조금 넘는 짧은 역사 속에서 가장 편리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은 자동차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보자.자동차의 역사는 과거에 대한 끊임 없는 보완작업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문헌에 따르면 자동차를 최초로 구상한 사람은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 레오 ... ...
② 수익체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하이테크 산업은 시장이 드러나기 전까지 아무런 밑그림을 그릴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경제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수요 공급 이론으로 하이테크산업의 흥망을 설명해내기란 힘들다. 여기에 복잡성의 과학을 경제에 접목시킨 수익체증의 법칙은 오늘날 벤처기업들의 성공을 분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