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 해양 목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중요하다. 이곳에는 적당한 먹이가 있어야 하고 해적생물을 피하기 위한 인공어초가
설치
돼야 한다. 일본 효고현 연안에 수심 40m 정도의 인공대륙붕을 만들어 3년 동안 실험한 결과 보육장이 치자어의 성장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대상 생물에 알맞는 토목공학적 인공수초의 ... ...
2005 초전도 자기부상열차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유도 벽면을 따라
설치
된 코일에 전류를 흘려 코일을 전자석으로 만든다.이때 차상에
설치
된 각각의 초전도자석은 바로 전면의 반대극상을 가진 전자석에 의해 끌려가고 초전도자석 바로 후면에 위치한 같은 극성을 갖는 초전도자석과의 반발력에 의해 추진된다. 열차는 진행할 때 이웃하는 지상 ... ...
2020 초고속항공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연소실에서는 매우 느린 속도로 공기가 흘러 지나면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엔진 전방에
설치
된 공기흡입구의 형상이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비행속도가 음속의 5, 6배인 경우 이와같이 엔진내부의 공기속도를 낮추면 매우 큰 공기저항이 걸리게 되어 정상적인 극초음속비행을 할 수 없다. 즉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방법을 고안하였다.즉 일란성 쌍둥이 LIGO를 두 개 이상 만들어서 서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
한 다음 각각 작동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LIGO는 중력파와 소음이 뒤섞인 신호를 모두 전광판에 기록할 것이다. 이를 충분히 수집한 다음 다른 LIGO의 기록과 비교하여, 똑같은 신호가 여러 곳에서 동시에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순간 곧 바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자송수신장치는 또 코뿔소의 뿔 주변에
설치
되기도 한다. 이 경우 뿔이 잘리는 순간 경고음이 울리게 되므로 즉시 밀렵방지부대가 출동하면 밀렵꾼들을 붙잡을 수 있다.전자송수신시스템은 동물의 이동을 연구하는데도 유용하다. 예컨대 코끼리의 ... ...
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분간 방송(재방송은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분)되고 있다.또 전국의 6천여 초중고등학교에
설치
돼 있는 발명반도 아마추어 발명가의 등용문이 되고 있다. 발명반에 들어가 발명경험과 정보를 나누고 공동발명품을 제작해 보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매년 5월경에 개최되는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등의 워드 프로세서 보다 앞서는 점이다.백상 워드프로세서의 경우 자형이나 문서가
설치
된 경로까지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과연 이 기능이 꼭 필요한 것일까"라는 의구심을 가질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사용자를 위한 선택 폭을 다양하게 했다는 점에서 높이 사고 싶다.외국의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날아갔던 베가1, 2호로부터 얻은 자료의 분석결과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우주선 밖에
설치
된 질량분광 광도계에 의하면 핼리혜성의 먼지 입자에는 원시 태양성운의 응축으로 인해서 태양계가 처음 형성된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다양한 규산염의 혼합물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먼지중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문대의 전신이었던 국립천문대는 74년 9월에 설립됐는데, 60cm 광학 망원경을 소백산에
설치
하기로 결정한 것은 그보다 2년전인 72년 5월 한국천문학회에서다. 소백산천문대는 78년 9월 준공됐다.소백산천문대 초기에 그곳에 근무하던 선배들이 겪은, 눈을 녹여 밥을 해먹었다는 고생담은 아직도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센서들이 집적된 원격제어로봇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이 원격제어 로봇은 우주선에
설치
되어 지상에서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간지연이 가장 큰 문제원격제어 로봇의 통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전송가능대역의 한계, 전송의 쇠약 현상 그리고 전송시간의 지연을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