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래아 한글 살린 국민운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때문이다.한 대기업 사원은 “삼성에서 개발한 훈민정음이나 MS가 개발한 ‘워드’를 써
보기
전에는 이들 프로그램이 ㅎ·ㄴ글보다 못하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훈민정음이나 워드를 쓰다보니 프로그램이 안정적이고, 데이터베이스나 워크시트, 통신 등을 이용하는데 ... ...
뉴트리노 질량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문제가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과연 옳을까. 이를 확인해
보기
위해 이번에 발표된 논문을 먼저 뜯어본다.질량 확인되면 노벨상은 떼논 당상 우주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 수많은 뉴트리노가 만들어진다. 이때 생성된 전자뉴트리노와 뮤온뉴트리노의 비율은 이론적으로 ... ...
인터넷 여행정보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식물을 모아 둔 '특정야생식물', 수록된 식물을 가나다 순으로 살펴볼 수 있는 '전체식물
보기
'로 구성돼 있다.각 코너를 눌러보면 식물의 분포와 종류, 식물별 개화기, 분류법과 피어나는 곳이 자세하게 안내돼 있다. 또 식물원이나 수목원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곳을 방문하면 자생식물을 직접 ... ...
Ⅴ 온실효과 탈출 마지막 비상구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질소 등 비교적 저분자량 가스분자가 물리적으로 포집돼 완성되는 복합체이다. 눈으로
보기
에는 얼음과 매우 유사하나 그 물리적 성질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샤벳 모양의 덩어리로서 매우 밝은 백색을 띤다.구조체를 형성하는 분자를 주체(host)라 하며 포집되는 가스분자를 객체(guest)라 한다. ... ...
달은 왜 크기가 변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같은 상태로 만든다. 그런 다음 진흙 위에 작은 돌멩이나 구슬을 던진다. 그냥 떨어트려
보기
도 하고 세게 또는 약하게도 던진다. 돌멩이의 무게나 던지는 속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크레이터가 만들어진다.●확인하기달의 크레이터는 주로 운석이 충돌해 생긴 것이다. 지구로 떨어지는 ... ...
불치병에 멍에 벗긴 당뇨병 치료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것이 상례다. 인슐린의 경우처럼 두해도 지나지 않아 시상하는 예는 좀처럼 찾아
보기
어렵다. 그만큼 이들의 업적은 의학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치있는 것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그리고 이런 결정이 적절한 것이었음은 후대의 역사가 잘 말해준다.그러나 노벨상위원회가 수상자로 밴팅과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마분지를 자른다. 돋
보기
의 지름에 맞게 마분지를 동그랗게 말아 테이프로 끝부분에 돋
보기
를 붙인다. 이 원통형의 마분지 속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두 번째 마분지를 말고 한 쪽 끝은 스티로폼에 둥글게 구멍을 내 루페를 끼운다. 두 마분지 대롱을 연결하면 망원경이 완성된다. 멀리 있는 물체의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인천 영종도를 잇는 선상의 지역에서는 알데바란이 달에 가리지 않고 스쳐 지나는 아주
보기
드문 접식이 일어난다. 해왕성의 충현재 태양계 가장 바깥을 도는 행성은 해왕성이다. 명왕성의 궤도가 길쭉해서 내년 3월까지는 해왕성의 궤도보다 더 안쪽을 돈다. 해왕성은 24일에 태양, 지구와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Systems)에서는 53개 대학의 약 1백35명의 연구인력이 동원돼 2015년까지 외계행성을 직접
보기
위한 지상 및 우주관측을 장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특히 2005년부터는 자외선관측 우주선을 발사해, 행성의 적외선 스펙트럼관측으로부터 크기 및 온도 등 구체적인 정보를 알아내고자 한다. 또한 직접적인 ... ...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인류는 태양의 모습을 더욱 가 까이서
보기
위해 지난 1995년 태양관측위성 소호(SOHO)를 쏘아 올렸다. 그러자 소호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자세하고 역동적인 태양의 모습을 전해주고 있다. 24시간 태양 관찰소호(SOHO:Solar and Heliospheric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