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습"(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집단, 병이 다 나은 집단으로 나눠서 시간에 따라 세 집단에 속하는 사람 수가 바뀌는 모습을 보여 준다. SIR 모형을 가장 체계적인 수식으로 처음 정리한 것은 1927년 스코틀랜드 의사 겸 전염병학자 앤더슨 맥켄드릭과 수학자 윌리엄 커맥이었다. 이들이 미분방정식을 써서 정리한 SIR 모형은 지금도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우주까지 직접 가볼 수는 없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건 지구에서 보이는 우주의 모습뿐이다. 우주의 비밀을 풀려면 수십 억 년 전에 출발한 별빛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수밖에 없다.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하면 시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관측 데이터와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삼아 힘겨루기를 하기도 했다. 비록 자주 보고되지는 않지만 어른 악어들이 함께 노는 모습도 짝짓기 계절 때 관찰된다. 특히 마이애미동물원의 금슬 좋은 쿠바악어 부부의 경우, 짝짓기 계절이 되면 수컷이 암컷을 업은 채 웅덩이를 빙글빙글 돈다. 악어의 무시무시한 살인미소 뒤에 놀이를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건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고도의 상식을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지하는 데서 더 나아가, 자기를 인식한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완벽한 자의식을 갖는 일은 아직 요원한 걸까. 영화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들고, 살점에 머리를 박은 채 식사에 여념이 없었다. 진물이 흘러나왔다. 충격적인 모습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혹시 사람 시체도 이런…가요?” “똑같아요.” “보기 힘들진 않으세요?” “저도 처음 봤을 때 좀 그랬는데…, 부검할 때마다 계속 보고 하니까 괜찮아지더라고요.”딱정벌레는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2021년부터 거대망원경 ‘GMT(Giant Magellan Telescope)’가 가동을 시작해요. 지난 호 특집 기사를 본 친구들이라면 이 망원경 제작에 우리나라가 참여했다는 걸 잘 알 거예요. 그 ... 소감을 밝혔어요. 우주광학센터에서 깎은 반사경들이 보여줄 새로운 지구와 우주의 모습을 함께 기대해 봐요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프랙탈’이 있다고 한다. 부분의 모습이 끝없이 반복돼 결국 그 모습과 닮은 전체 모습을 띠는 걸 말한다. 이 밖에도 해안선이 구불구불 이어져 있는 모양이나, 눈꽃의 모양도 프랙탈로 볼 수 있다.마구잡이로 생겨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번개의 프랙탈 모양에는 수학적인 법칙이 있다. 번개나 ...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이제 근의 공식을 적용하면라는 답이 나옵니다. 곱해서 음수가 되는 숫자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겁니다. 허수를 사용하면 어떤 2차방정식도 문제 없습니다.카르다노도 허수를 받아들이지는 못했습니다. 오히려 허수로 나온 답을 ‘쓸모없는 경우’로 치부했죠. 하지만 그의 뒤를 이은 수학자들은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2009년에 미국 과학전문학술지 에 실린 적이 있다. 미래의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 고민하던 김 선생님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사이버 가정학습을 시도했다. 사이버 가정학습은 학생에게 매일 공부할 분량을 주고 문제를 풀면 바로 채점해 주는 시스템이다. 사이버 가정학습을 반복하면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무너지는 것처럼, 계속 남자 얼굴로 보이던 그림도 어느 순간 아주 작은 차이로 여인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다.지각성 모호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화가도 있다. 우스꽝스러운 콧수염으로 유명한 스페인 화가 살바도르 달리나, 채소로 초상화를 나타낸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아르침볼도다.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