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표준발 모델이다. 한국인의 표준발은 미국이나 일본인의 표준발과 비교했을 때 발의
길
이에 비해 발의 둘레가 더 크다. 따라서 한국인에 비해 발의 둘레가 좁은 외국인 발의 형태를 적용한 신발을 신으면 갑갑함을 느낄 수 있다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게놈에 흔적을 남긴 셈이다.카레 속 커큐민 암세포 성장 유전자 제어인도인들은 먼
길
을 떠날 때 상비약으로 ‘강황’을 챙긴다. 인도인들은 강황을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해 순금보다 비싼 값을 매긴다. 더위가 심한 인도에서는 발한작용으로 인한 상쾌함을 얻기 위해 매운 맛의 향신료를 흔히 쓴다.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선보였다.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전자 적중 쥐는 질병을 치료하는
길
을 매끄럽게 닦았다.맞춤형 쥐는 과학자가 원하는 특정 유전자를 쏙 뺀 쥐다. 사실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다른 유전자로 바꾸는 기술은 미생물 같은 하등동물에서는 이미 개발됐다. 병충해에 강한 작물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작동 과정을 ‘눈 내리는 날’에 비유해보자. 과거의 3차원 디스플레이는 눈이
길
에 한가득 쌓일 때까지 기다린 뒤 한꺼번에 치우듯이, 데이터 단위인 픽셀을 전부 모은 뒤 화면에 한꺼번에 나타낸다. 반면 김 교수팀이 개발한 칩은 눈이 한 송이씩 내릴 때마다 바로 치우는 것처럼 픽셀이 하나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앨런 튜링을 상징한다. 그는 인간의 논리 회로를 모방한 튜링 머신을 고안해 컴퓨터의
길
을 열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독일의 암호 애니그마를 해독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러나 그는 자살로 자신의 삶을 마감했다.1868년 6월 14일혈액형을 발견한 란트슈타이너 출생오스트리아의 의사 ... ...
6월 6일, 발등에 오줌싸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비밀은 바로 태양에 있습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커다란 구에서 태양이 다니는
길
을‘황도’라고 해요. 황도에서 봄의 기준점인 춘분점에서 태양이 멀어진 정도를 ‘황경’이라고합니다. 태양이 여름의 기준점인하지점을 향해 움직이면 황경이 커지며 날씨가 점점 더워집니다. 망종이 되면 ... ...
외래종 새가 하와이 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살 곳을 잃은 자생 조류가 대부분 멸종했다. 씨 뿌리는 ‘농부’를 잃은 나무들이 번식할
길
을 잃고 덩달아 멸종 위기에 처한 것.그런데 최근 하와이의 숲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포스터 박사팀이 하와이에 유입된 외래종 조류인 동박새(Zosterops japonica)와 상사조(Leiothrix lutea)의 위를 조사한 결과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하는 등 가야할
길
은 아직 무척 멀다. 그러나 가능성이 보이는 한 과학자들은 그들의 갈
길
을 계속 갈 것이다. *비폐쇄성 무정자증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않지만, 유전적 문제 때문에 정원줄기세포로부터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남성 불임환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줄기세포의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한다.그렇다면 어떻게 210여개의 갈림
길
에 놓인 배아줄기세포를 우리가 원하는 한쪽
길
로만 가게 설득할 수 있을까? 그 답은 오랜 세월동안 쌓아온 발달생물학의 연구 결과에서 얻을 수 있다. 난자와 정자가 수정한 뒤 세포 분열과정인 난할을 거친 배아는 모체의 자궁에 착상해 하나의 개체로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전국민이 1년동안 배출한 양으로 어림하면 1억8000만톤에 이른다.이제 자신이 걸어온
길
을 되돌아보며 그동안 남긴 탄소발자국을 돌아볼 때다. 그리고 서로에게 물어보자. 당신의 탄소발자국은 얼마입니까? 종이컵 1개의 탄소발자국과학동아는 국내 최초로 종이컵 한개를 생산해서 사용하고 소각할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