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바꾸는 거니까. 적어도 그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했어요. 그리고 어느날, 그 사람들은 이곳 태양계에 웜홀을 만들고, 우주선 안에 전자기 육체를 담고 날아왔어요. 그 순간 확률이 0에 가까운 일이….”니샤는 지금까지 윤환이 해준 얘기와 네트워크에서 크게 관심을 끌고 있는 영상을 결합시켜보았다.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고 있어요. 어느 곳에서는 판이 생겨나는가 하면, 또 어느 곳에서는 한 판이 다른 판 밑으로 푹 들어가며 사라지지요. 판과 판이 서로 팽팽하게 맞대결하며 그 사이에 있는 퇴적물을 힘껏 밀어올리기도 하고요.판이 생겨나는 지역을 ‘확장 경계’, 판이 만나는 지역을 ...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설치류 등 여러 가지 먹이를 다양하게 먹어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좋아 사람들 사는 곳에서도 많이 나타나지요. 실제로 미국에선 도시와 가정집에 너무 많이 나타나 문제가 되기도 한답니다. 너구리 말고도 라쿤과 비슷하게 생긴 다른 동물 중에는 ‘레서판다’가 있어요(작은 사진). 레서판다는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일부인데, 본래 이 사이트 자체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성지와 같은 곳이다. 오로지 수학 영재를 위한 강의와 문제를 제공한다.2017년 1월,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가 온다!수학동아에서는 수학자의 연구 방식을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기획 중이다. ...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 결과 어느 구역이든 물고기의 종 수는 비슷했다. 하지만 어업 활동이 활발한 곳에서는 몸집이 큰 물고기 종이 적었고, 인과 질소의 농도가 보호구역의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연구팀은 몸집이 큰 물고기가 인이나 질소를 더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지 실험으로 확인했다. 물고기를 크기에 따라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수면처럼 본능에만 충실하도록 뇌간만 발달했다. 흔히 ‘파충류의 뇌’라고 부르는 곳이다. 쥐나 고양이 같은 포유류는 천적을 피하거나 먹잇감을 사냥하는 등 생존과 관련이 있는 중뇌도 발달했다. 사람이나 유인원, 돌고래는 피질이 발달했다. 뇌세포도 많으며, 주름도 많다. 특히 사람은 피질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동공확대근을 이용해 밝은 곳에선 홍채를 조이고(동공의 크기가 작아진다) 어두운 곳에선 홍채를 푼다(동공의 크기가 커진다). 재밌는 점은 사람마다 이런 홍채의 모양이 다 다르다는 사실이다. 손가락 지문이 다른 사람과 같을 확률이 1000만 분의 1인 데 비해, 홍채가 다른 사람과 같은 확률은 10억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교재도 없고, 관련 논문에도 자세히 서술돼 있지 않아 기술자의 존재가 무척 중요하다. 이곳 역시 김 연구원이 없으면 삽핵과 같이 세심한 기술이 필요한 과정은 진행할 수 없다.학생들이 실습한 삽핵은 진주조개의 생식소에 진주가 될 핵(조개 껍질을 뭉쳐 동그랗게 만든 것으로 마치 구슬같이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주위, 입 주위에 특히 많다. 또 근육에 따라 깊숙한 곳에 있는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얕은곳에 있는 것도 있다.●입과 입술 주변 : 입꼬리내림근, 아랫입술내림근, 입꼬리당김근, 턱끝근, 큰광대근, 작은광대근, 윗입술콧방울올림근, 입꼬리올림근, 윗입술올림근, 입둘레근, 볼근, 광경근이 있다. 이 ...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어야 하잖아? 그럼 바다는 어떻게 건너지?유럽처럼 나라끼리 육지로 연결되어 있는 곳은 지금도 열차를 타고 쉽게 다른 나라를 여행할 수 있어요. 그럼 바다는 어떻게 건널 수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바다 아래의 땅을 뚫고 지나가는 ‘해저터널’이나 바다 속을 튜브로 연결하는 ‘해중터널’에서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