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3,741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03
없는 75년 전에 이런 알고리즘을 혼자 개발해놓은 것에 대하여 놀라워 하고 있다. 또 π의
역사
에 대해서만 써 놓은 베크만(Beckmann)의 'π의
역사
'(A history of π)에는 라마누잔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던 것을 보면(이 책은 1974년에 나왔다) 라마누잔이 얼마나 시대를 앞서는 천재인가를 다시 한번 느끼게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03
ISAS의 Astro-D 등 5~6개에 이르고 있다. Astro-D는 최근에 발사됐다.X선 천문학은 비교적 짧은
역사
에도 불구하고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의 형태인 백색왜성 중성자성 블랙홀 등의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특히 현재까지 관측된 X선원 중 Cyg X-1(백조자리에서 첫번째로 발견됨) LMC X3(대마젤란 ... ...
언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303
인류를 다른 동물과 구별해 주는 특징의 하나로 우리는 먼저 언어를 꼽는다. 인류와
역사
를 함께 한 언어는 문학에서 과학, 예술에서 의술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인간이 이룩해 낸 문명을 가능하도록 했다. 이러한 언어와 인접하는 현대과학으로는 어떤 분야가 있을까?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03
정액제공자의 정액을 받아 인공수정을 비밀리에 실시한 적이 있다. 이같이 인공수정의
역사
는 1백년이 넘는다.정액의 보존은 1960년대부터 동결방법과 냉해방지제의 발달로 보다 본격화되었다. 1953년에는 셔먼(Sherman)이 냉동보존된 인간정자를 녹이면 다시 수정능력을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후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02
관리하는 데 부적절 한 나머지 도태되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디렉토리라는 개념은
역사
성을 띠고 있다.도스에 디렉토리라는 개념이 도입된 후에도 하드디스크가 없는 컴퓨터에서는 디렉토리라는 개념이 별로 유용하지 못했다. 몇년전에 '교육용'이란 애매한 이름으로 플로피디스크만 두 개 달린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02
주위의 사물이나 자연현상을 이용하는 재능이 있다. 인간의 기술
역사
는 도구의 발전
역사
라 해도 좋을 만큼 새로운 기술은 반드시 이를 뒷받침하는 도구, 즉 가공기술이 있어야 실현된다. 여기서는 가공의 기본이 되는 절단기술의 최근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자.절단기술은 공작물을 원하는 크기나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02
산업기술개발을 활성화하는 것이 정책의 주요 내용이었다.그러나 일천한 산업화
역사
와 거의 전무했던 과학기술기반에서 출발한 우리나라의 기술혁신 체제는 수요 공급간의 양적 철적 괴리가 상존하고 기술혁신 주체간의 상호연계성이 취약해 국가발전에 대한 국내 과학기술의 기여도가 높지 ... ...
X선 기술로 미이라를 영상화한다
과학동아
l
199302
미이라에 관한 어떤 기술도 남겨놓지 않았다. 그래서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의
역사
가 헤로도투스가 쓴 저술을 참조해 미이라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영박물관의 이집트전문가인 제프리 스펜서박사는 "제니가 헤로도투스의 기록이 정확함을 입증하고 있다"고 밝힌다.또 제니의 3차원 영상은 그녀가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02
우리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거나 윤택하게 해 주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역사
의 교훈을 살펴보면 자연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인류 발전에 큰 공헌을 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물리학을 포함한 기초 과학의 발달이 2백년 전에 산업혁명을 가져 왔다. 전 세계를 작은 지구촌으로 ... ...
몽골
과학동아
l
199302
것 외에 말 잘 타고 활 잘 쏜 것에도 크게 기인했을 것이다.우리에게 칭기즈칸은 몽골
역사
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정작 그의 조국에선 지난 4백여년간 칭기즈칸이란 이름을 거론조차 할 수 없었다. 이는 그간 몽골을 통치하다시피한 청나라와 옛소련이 그를 싫어했고, 몽골인의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