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뉴스
"
수
"(으)로 총 47,490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외선 85배 증폭 초고감도 양자점 센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글로벌 자율주행차와 양자컴퓨팅, 의료 영상 시장 등을 선도할 벤처 기업 육성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65-024-01831 ... ...
그래핀서 1/3 분
수
상태 전자 발견…양자컴 오류 개선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위상 양자컴퓨터란 양자 정보의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 중 하나다. 김 교
수
는 “연구는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와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와의 긴밀한 협력의 결과물이다"라면서 "앞으로 자기장이 없는 환경에서도 유사한 상태를 구현하는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 ...
KAIST 정시 지원자 38% 급감…의대증원 여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KAIST를 포함한 4개 과학기술원의 2025학년도 정시모집 총 지원자
수
가 지난해 6743명 대비 4844명으로 2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원별로는 KAIST가 지난해 2147명에서 올해 1333명으로 37.9% 줄어 가장 큰 비율로 감소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454명에서 1088명으로 25.2%, ... ...
"영화예고편인가요?"…'사전공개 논문' 의미, 다
수
가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도 분석됐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과학 커뮤니케이터와 언론인이 사전공개 논문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도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doi.org/10.1177/09636625241268881 - doi.org/10.1080/10410236.2023.216495 ... ...
[사이언스게시판] 최정헌 책임연구원 '2024 KBSI人상'
수
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최정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지구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KBSI 제공.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2024년도 KBSI인상'
수
상자로 최정헌 지구환경연구부 책임 ... 성공적으로 정착했음을 보여줬다. 감사 결과는 NST 감사위원회 홈페이지(https://audit.nst.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혈액검사로 면역항암제 효과 예측하는 새 AI 도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성능을 확인할 계획이다. 또 임상 현장에서 의사들이 손쉽게 이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 10.1038/s41591-024-03398- ... ...
샘 알트만 "AI 가상 직원, 연내 직장 합류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올해는 업무 환경에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도입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 AI에게 종속될 가능성도 있고 AI가 인간의 일을 대신하면서 대량의 실업자가 발생할
수
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 ...
국민 54% "현 상태론 의정 갈등 해결 못해"…스트레스·피로감 호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나타났다. 응답자의 53.8%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보건의료정책 관련 정부에 대한 신뢰
수
준에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다. 비상계엄 이후 의정 갈등이 악화될 것이란 전망은 53.5%였다 ... ...
대장내시경도 AI가 돕는다…"불필요한 용종 절제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비율이 높은 AI 시스템은 오히려 환자의 안전과 의료 비용효과성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AI 도입 시 실제 의료환경에서 다양한 의료진과의 상호작용이 철저히 검증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 doi.org/10.1038/s41746-024-01334 ... ...
[양자역학 100년] "해킹 불가라는 양자통신, 표준 선점해야"(하)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중 가장 안전한 기술이라는 말은 맞다"고 말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 자체는 이미 상용화
수
준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된다. 안전성이 중요한 군용의 경우 암호통신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인 결정이, 민간에서는 구축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추가 연구개발(R&D)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된다.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