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외계탐사 전초기지 우주정거장 24시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쓰고 버리는 일이 없다는 얘기다.사람이 숨을 쉬는데 필요한 산소는 물에서 만들어진다.
태양
전지판에서 발생시킨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우주정거장에서는 물이 가장 중요한 셈이다. 샤워하고 나서 더러워진 물도 그냥 버리지 않고 다시 정화해 재활용한다.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법칙을 따르고 원천함수(源泉函數)가 플랑크의 복사함수로 주어질 때를 말한다
태양
의 코로나 ·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 성간공간(星間空間)처럼 밀도가 작은 가스체에서는 이런 상태가 나타나지 않지만 밀도가 ... ...
알래스카 빙하 두께 연간 50cm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우주선(宇宙線)은 고에너지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초신성(超新星)의 폭발이나
태양
의 플레어 같은 항성(恒星)의 현상에 의해 가속되어 만들어진다 거대 에너지 현상을 주로 연구하는 천문학 대개는 지난 10여 년 동안에 급속히 발전한 천문학 분야이며 그 대상이 폭발이나 고에너지 입자 ... ...
2. 현재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때는 우주선도 가벼워지고 화성의 중력도 약하기 때문에 4일만 필요하다. 우주선은
태양
을 중심에 둔 궤도로 85일만에 지구에 도착한다. 지구에 도착하면 우주비행사가 탄 진입선은 지구 대기에 돌입하고, 모선은 지구 궤도에 남겨진다. 화성 왕복우주여행에 총 3백40여일이 걸린다.VASIMR의가장 큰 ... ...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시작한 나이테 연구연구실로 되돌아온 그는 바로 나이테 연구를 시작했다. 오래지 않아
태양
의 활동은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고 해마다 나이테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은 이유는 그해의 온도와 강우량에 따른 결과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매우 메마른 지역에서 간신히 살아가는 나무는 ... ...
누워서
태양
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인류가 1994년 직접 목격한 목성과 혜성의 충돌 같은‘우주충돌’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태양
계 초기에 천왕성이 지구 만한 크기의 천체와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 ...
미리가본 한여름의 별축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천체 부터 몇초 전에 만들어진 별똥별의 빛까지 볼 수 있음을 알게 된다.제 2전시관 -
태양
계의 방량자 혜성(혜성관)헤일 밥 혜성과 하쿠다케 혜성의 다양한 사진이 전시된다. 혜성의 유례, 인류 역사에서의 혜성, 신혜성 탐사의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된다.제 3전시관 - 별자리관황도 12궁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그러나 궤도가 추적되는 소행성들은 전체의 10% 미만. 모든 소행성들을 추적하기에는
태양
계가 너무 넓고 막대한 돈과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NASA는 90년대 초부터 망원경과 레이더들로 이뤄진 전세계적인 지구 근접 천체(NEO, Near Earth Object) 관측망 구성을 촉구해왔다.누가 소행성을 뚫을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평상시에 안보이던 천체가 나타난 현상을 동양 옛문헌에서 일컫는 말이다 이것은 주로
태양
계를 떠돌다 지구로 찾아오는 혜성, 별이 폭발하는 단계인 신성이나 초신성을 의미한다자폐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원인이 다른 증후군 X염색체의 긴 팔 부분에 이상이 있는 정신지체의 일종이다 언어 발달이 ... ...
태양
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행성이 만들어지지만, 밀도가 낮은 바깥쪽에서는 먼지의 형태로 남아있게 된다.
태양
계에서는 1992년에 발견된 해왕성 바깥쪽의 카이퍼 대(Kuiper belt)가 바로 여기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이런 먼지 띠는 밝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만일 별 주변에서 먼지 띠가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