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주로 발견되는 혈액, 타액, 정액, 질액, 생리혈 등의 체액을 식별하는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장에서 발견되는 이런 체액을 통해서도 사건 현장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혈액이 발견될 경우 폭력적 행위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고, 정액이나 질액이 발견되면 증거물을 남긴 사람 사이에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결과입니다. 연구팀 주무기는 ‘확률’연구팀은 q명으로 이뤄진 각 조 안에 r명으로 이뤄진 소모임이 있을 때, 전체에서 어떻게 r명을 뽑더라도 그 r명을 소모임으로하는 조가 정확히 하나 있도록 전체를 똑같은 모양의 조로 나눌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이를 설명하는 건 매우 어려우니 특수한 ... ...
- [수학공감] 수학, 놀이가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볼 수 있다.예를 들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교과서 문제의 풀이를 종이에 적은 뒤 사진을 찍어 그 문제에 심어놓으면 학생들이 Aurasma앱으로 풀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문제 근처에 증강현실로 풀이가 보이는 것이다. 선생님이 심어놓은 풀이가 아니더라도, 학생이 스스로 풀이를 심어놓고 친구들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수가 없었지만, 시간이 조금 지난 뒤부터는 점차 평온을 되찾았다.할 일이 없어 심심해진 하림은 심지어 공부라는 것도 해 보았다!삐릭~“하림이 요즘 뭐해? 놀러도 안 나오고. 학생부 기록을 보니 요즘 수업 태도가 좋아졌다고 하네.”마고의 메시지였다. 하림이 발끈해서 답장을 보냈다.“뭐야? 내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마우스 배수구’ 혹은 ’나팔꽃 배수구(글로리 홀)’라고 부른답니다. 마치 거꾸로 엎어진 벨 모양이나 나팔꽃 모양을 닮았기 때문이지요.대부분의 나팔꽃 배수구는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거대한 구멍처럼 보여요. 반면 세라 다 에스트렐라 산맥의 코방 도 콘쇼스는 주변에 식물이 자라며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과자 도둑 ‘ 까까나 까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생각해. 그래서 맞춤법이 틀리게 이름 지어진 과자를 아주 싫어하지. 그러니 정해진 시간 안에 못 골라내면 펑! 알지?”과자 때문에 잠 못 이루는 썰렁홈즈?“쳇! 썰렁홈즈, 이번엔 내가 졌다!”‘까까나 까까’는 썰렁홈즈의 실력을 인정하며 과자를 돌려주기로 했다. 썰렁홈즈는 탐정 사무실에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철은 ‘탄후앙’이라고 구별해 부르지요. 우리나라 사람들만 서양에서 만들어진 꼬불꼬불한 모양의 철을 용수철이라고 부른답니다.탄성은 어떤 물체의 모양을 바꾸었을 때 원래대로 돌아오려는 성질을 뜻해요.‘탄알 탄(彈)’의 부수가 되는 한자는 왼쪽에 있는 ‘활 궁(弓)’이에요. 활대의 모양을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필승법과 관련 있을까요?할리갈리는 같은 과일이 1개 그려진 카드가 총5장이고, 4개 그려진 카드는 총 2장이에요. 그러니 바닥에 똑같은 과일이 4개 있을 때, 1개짜리 카드가 나와서 5개를 만들 확률이 바닥에 과일 1개가 있을 때 4개가 그려져 있는 카드가 나와서 5개를 만들 확률보다 높겠지요. 이렇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유전자 계층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이 핵심 조절자를 조절하는 ‘진짜’ 우두머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다음 숙제입니다.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는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볼 때 지식의 성장과 학문의 진보는 사유 패턴의 혁신으로 인해 가능했다”며 “시대를 바꾼 과학의 패러다임이 무엇인지, 지적 혁신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짚어 볼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강연이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