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4,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압축프로그램이 찾아낸 오디세이아의 진짜 저자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최고의 지성이었던 프란시스 베이컨과 제17대 옥스퍼드 백작인 에드워드 드 비어가 가장
유명
합니다. 그 외 엘리자베스 여왕의 숨겨진 사생아가 때로는 베이컨, 때로는 셰익스피어라는 필명으로 글을 썼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지난해 초 이탈리아 라 사피엔차대의 다리오 베네데토, 에마누엘레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역할을 했다. 당시 보도된 내용은 “이원철은 수백의 세계 천문학도가 찾지 못하던
유명
한 별 한개를 발견했고 그 별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원철별로 공칭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추측으로 꾸며진 소설 같은 이야기가 이후 실제 사실로 굳어지게 됐다.그러나 이원철이 이룩한 성과는 새로운 별을 ... ...
봄철 대표하는 은하 한쌍 M81과 M82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잘 알려져 있었다. 북두칠성은 청동기시대 고인돌 덮개나 고구려 고분 속에 그려졌으며,
유명
한 장수는 칠성점을 지니고 태어난다는 식의 토속신앙이 전래돼 왔다.M81과 M82는 북두칠성을 길잡이로 해 찾아간다. 두 은하는 북두칠성의 국자 머리부분에 위치해 있다. 북두칠성의 세번째 별인 감마(γ ... ...
먼 지인 통해야 직장 구하기 쉽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몇몇 외국 조연배우들로 인해 이미 연결돼 있다. 그러나 케빈 베이컨 게임의 성격상 좀더
유명
한 영화와 배우들로 연결되는 것이 게임의 연결고리를 찾아내기가 쉽다. 따라서 당분간 박중훈이 충무로 배우들을 케빈 베이컨과 연결해주는 길목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박중훈은 그라노베터 ... ...
봄 길목에 떠있는 여물통 프레세페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당나귀가 여물통에 머리를 들이민 모습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프레세페의 또다른
유명
한 이름은 벌집(beehive)이다. 천체망원경에 드러나는 성단의 모습이 마치 벌집 같기 때문이다.프랑스의 천문학자 찰스 메시에는 1769년 자신의 첫번째 메시에 목록 천체 45개를 완성하면서 고대부터 알려져 ... ...
명배우 뺨치게 연기하는 사이버 배우, 시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같은 시스템을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있다. 해마다 업그레이드되는 축구 게임은 전 세계
유명
축구 선수들의 기량과 경기 습관, 골 세레모니 등을 데이터로 갖고 있으며, 게이머는 자신의 플레이를 녹화해 친구들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 점을 생각하면 사이버 배우를 이용한 아마추어 영화가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저자는 또 어떤 사람일까.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우리나라 최고(崔古)의 해양생물학서로
유명
한‘현산어보’에서 발췌한 것이다.‘ 현산어보’는 다산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지은 책이다. 정약전은 천주교에 관련됐다는 죄목으로 전남 신지도와 우이도를 거쳐 흑산도에서 오랫동안 귀양살이를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1만개 정도의 행성상 성운이 존재하리라 여겨지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것은 1천개 정도다
유명
한 행성상 성운으로는 거문고자리의 고리성운, 작은여우자리의 아령성운, 큰곰자리의 올빼미 성운이 있다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와 우리은하 부근의 외부은하에 있는 대소 두개의 마젤란성운과 ... ...
패스트푸드점 단골 X 신드롬 주의해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판결해 피해자들이 보상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길이 열었다.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이
유명
해지면서 최근 장거리를 날아가는 비행기 안에서는 새로운 풍속도가 연출되고 있다. 안전을 위한다며 또는 남에게 피해주지 않겠다며 비행기에 탑승한 후 자기자리를 고수하던 사람들은 이제 찾을 수 없게 ...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할 의무가 있었다.1801년 왕립연구소의 자연철학 교수직을 맡은 토마스 영은 오늘날 그
유명
한 영의 ‘빛의 간섭 실험’에 대해 강연했지만 청중들로부터 전혀 호응을 얻을 수 없었다. 영이 주장하는 빛의 파동설이 빛의 입자설을 옹호하던 당시의 학문적 분위기에서 받아들여지기 힘들었다는 이유도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