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길거리에서 최신영화 한 편을 내려받으려면 아무리 빨라도 1
분
남짓 걸린다. 그런데 최근 800MB(메가바이트)짜리 영화 한 편을 단 1초에 내려받을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해 화제가 되고 ... 자기의 발생, 전기장과 자기장,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의 형성을 나타내는 4개의 편미
분
방정식이다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개로 나뉘어요. 어때요, 맞죠?”퍼즐해결사답게 소마가 변 이장 양계장의 땅을 정확히 3등
분
하는 경계를 찾아냈다. 소마가 쉽게 퍼즐을 해결하자, 옆에 서 있던 문 반장이 감탄하며 말을 꺼냈다.“어머나! 정말 똑같은 모양의 땅으로 나뉘었네요? 세상에! 그럼 변 이장에 대한 소문이 다 헛소문은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만드는 연구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 행성 과학자들이 미래에 가장 잘 나갈 만한
분
야로 꼽는 게 바로 소행성 채굴이다. 2005년이토가와 소행성에서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를 발사할 계획이다. 하야부사2는 ‘1999JU3’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만들어진다. 빛을 만드는 원자가 다르니 색도 당연히 다르다. 토성 오로라는 붉은색이며,
분
포높이가 무려 1000km나 될 정도로 거대하다. 그 외에 천왕성과 해왕성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됐다. 해왕성에서는 보이저 2호가 오로라를 관측했지만 천왕성은 2011년에야 비로소 처음으로 관측됐다. 그러나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최고의 기계 선진국이 도전한다스텔러레이터는 최근 컴퓨터와 기계 기술의 발달 덕
분
에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1998년에 가동이 시작된 초전도 자석 스텔러레이터인 일본의 LHD(거대나선장치)는 특정 조건에서 고온 플라스마 지속시간이 1시간을 넘을 정도로 성능이 뛰어나다. 아직 어떤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강박성 인격장애환자의 모습이다. 이들은 모든 걸 완벽하게 통제하길 원한다. 작은 부
분
이라도 자신의 기준과 어긋나면 참지 못한다. 이것을 남에게도 강요한다. 부자관계처럼 권력이 작용하는 관계에서는 더욱 심하다. 자신의 기대에 조금만 어긋나도 혹독한 훈계가 이어졌을 거다. 이런 사람에게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귄터 오베르되스터 교수는 프라이팬 코팅재로 흔히 쓰는 테플론(PTFE) 나노입자를 쥐가 15
분
동안 마시게 했더니 4시간 만에 죽었다고 보고했다. 하워드 박사는 2003년 3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나노입자는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생체조직과 더 잘 반응해 독성이 생기는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더 배려한 과학책을 만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독자와 함께 과학책이라는 척박한
분
야를 함께 개척해 간다는 건 신생 출판사 MID에게는 더없이 의미 있는 일이다.인터뷰가 끝나갈 무렵, 최 대표는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며 한자가 적힌 종이를 꺼내 들었다. ‘지천년견오백(紙千年絹五百)’이라는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월은 나라를 지킨
분
들의 뜻을 기리기 위한 호국보훈의 달이다.썰렁홈즈는 뜻 깊은 6월에 뭔가 의미 있는 일을 해 보고자 다시 군대에 들어갔다.“자, 지금부터 훈련을 시작하도록 하겠다!”철저하게 원칙을 지키기로 유명한 ‘대충하지 마림다’ 교관이 훈련을 시작했다.“으…, 왠지 조금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성공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
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
분
해능 형광현미경은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는 말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최첨단 과학 기술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