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워게임' 현장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모의전쟁을 보여준 것은 제이너스(JANUS) 모형을 통한 대대급 훈련과정. JANUS모형은 미국
국립
로렌스 리브모어연구소에서 지난 86년 후반부터 개발한 모형으로 국내에 들어온 것은 2.3버전이다.한번의 대대급 전투를 모의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자료가 20만 라인에 이를 정도로 방대하다. 이 모형에 ... ...
식성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어떤 종류의 아밀라제가 만들어지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
국립
과학학회 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 90, p5257)는 작은 갑각류의 연구결과를 통해 동물의 미각을 결정하는 유전적 요인이 있음을 제시했다.동물의 미각을 결정하는 유전적 요인 비록 이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추진키로 했다. 여기에는 과기처 체신부 상공부 총무처 내무부 한국전력 한국통신
국립
지리원 한국전산원 등 관련 10개기관이 참여한다. 현재 경제기획원은 국가적인 GIS가 구축될 경우 향후 5년 이내에 50여종 이상의 GIS 적용 업무가 개발될 것으로 예상, 수조원의 비용절감이 예상되는 것은 물론 ... ...
3. 컴퓨터 모의 실험- 세기적 '우주쇼' 대예측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관측자를 보내 7월중에 한국의 나쁜 날씨에 대비해 이 현상을 꼭 관측하려 하고 있고,
국립
천문대에서는 AMOS로, 충남대에서는 맥도널드 관측소로 각각 관측자를 보내 한국의 장마전선과 나쁜 날씨에 대비하고 있다(표). 관측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즉 이미지관측과 분광관측이다.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그 질량은 1천3백10억eV보다 커야한다는 것이 발표되기에 이르렀다. 이번에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의 테바트론 가속기를 이용한 CDF 실험그룹에 의해 처음으로 t쿼크의 증거가 포착된 것이다. 질량은 실험적으로 측정되어지는 양으로 표준모형에 의한 t쿼크질량의 이론적 예견은 불가능하다. 그 ... ...
황사 유입량 및 이동 경로 종합측정 착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와 함께 대한항공은 자체기술로 개발한 국산 항공기 창공 2호를 제공하고 환경처 산하
국립
환경연구원은 항공기에 탑재할 지상관측용 먼지측정기를 제공, 종합측정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했다.이번 황사 측정은 올해를 실험단계로 잡고 내년 2차년도부터 본격적인 대기 오염 측정을 가동할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진수시켰다. 야마토는 길이 30m의 배로 8노트까지 속력을 낸 바 있다. 미국 시카고 아르곤
국립
연구소에서는 MHD 선박에 실릴 길이 6.3m 무게 1백80t이나 되는 거대 초전도자석을 개발 중이다. 이 초전도자석을 이용하면 지름 50㎝ 터널에 매분 9만5천 L 씩 바닷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MHD에 관한 한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어느 정도일까. 심포지움에서 '소행성에 의한 인류절멸'이란 주제로 발제를 한 일본
국립
천문대의 이소베 슈즈 박사는 "3천만년만에 한번 정도는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면서 "이는 단지 확률일 뿐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우주망원경을 통한 경계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 ...
자동수질측정시스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공동으로 선박 탑재 연속측정 장치의 시제품을 제작해 해양오염 조사에 사용했다. 일본
국립
환경연구소도 부산-고베 간을 왕복하는 정기 여객선 '단노'호에 선박탑재 연속수질측정장비를 장치해 1991년부터 1993년 봄까지 일본내만(內灣)과 대한해협을 1주일에 2회씩 왕복으로 조사한바 있다 ... ...
"화학조미료 주성분 MSG는 무해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위약에도 아무 반응이 없었다는 것이다.MSG의 유해성에 관한 논쟁은 지난 68년 4월 미국
국립
생의학 연구기금의 중국계 약사인 로버트 호만콕이 중국식당에서 식사를 한 후 갑자기 뒷머리에 통증을 느끼며 나른한 기분이 들고 가슴이 뛰거나 목덜미와 양쪽 어깨가 뻐근해지는 등 이른바 '중국식당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