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음
질의
의문
문제
퀴즈
심문
수수께끼
d라이브러리
"
질문
"(으)로 총 3,1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90년대에 들어선 우리는 언제까지 남의 이야기를 듣는 수준에서 머무를 것인가'라는
질문
이 나올 차례일 것이다.아직 본격적인 과학소설의 소개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세계적인 과학소설 작가가 우리나라에서 나와야 한다는 바램을 이야기한다면 그것은 지극히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될 것인가?또 그것도 아니라면 우주는 또다른 변화를 맞을 것인가?바로 이러한
질문
들이 천문학자들을 흥미진진하게 만드는 것이다.Has astrophysicist Paul S. Wesson, of the University of Waterloo in Ontario, solved a problem that has been annoying astron ...
남은 수명 어떻게 계산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시킴)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했다는 것이다. 즉 짧은 시간에 컴퓨터의
질문
에 답하기만 하면 즉각 결과를 통보 해준다는 점이다. 후생성에서는 1차적으로 공공장소에 이 프로그램을 설치해 사용결과에 따라 내용을 세부적으로 수정해 나갈 예정 이다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물리학과 화학의 기본 내용이라 할 수 있는 '만물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하는
질문
은 당시 자연철학의 주요과제였던 것이다.이들 지식이 자연철학에서 벗어나 물리학 화학 생물학등으로 구별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뉴턴의 천체물리학이 완성되던 과학혁명을 거치면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란 특별기획을 마련한 적이 있다. 이때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한국인이 누구냐'는
질문
에 대해 많은 과학자들은 '이제까지 이휘소처럼 노벨상에 가까이 가본 사람이 없다'고 대답했다. 이휘소는 어떤 과학자이며 그의 학문적 업적이 어느 정도였길래 많은 사람들이 '노벨상감'으로 꼽기를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것의 실제직경이 1.37광년임을(약 8조마일) 계산해 낼 수 있었다. 이제 천문학자들은
질문
을 해야했다. 고리가 얼마나 떨어져 있기에 1.37광년의 직경이 우리에게는 1.66초폭의 호로 보이는가?그 답은 16만 9천 광년으로 이는 대마젤란운의 모든 수많은 별들의 평균거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꽤나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바다너머로 공부를 하러가는 한 우리는 왜 조국을 떠나 먼길을 가야하는가를 끊임없이
질문
해야 한다. 그 대답은 교육 및 연구환경의 질이나 장학금의 액수, 학위기간동안 출판한 연구논문의 수로 정당화되는 것이 아니다. 바로 진정한 우리 민족과학의 원천인 어머님들의 갸날픈 손이나 높이 불끈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망원경을 처음 사려는 사람들은 어떤 망원경을 선택해야할지 고민하게 된다.이들
질문
의 대부분은 '가장 좋은 망원경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가장 좋은 망원경은 존재하지 않는다. 몇 종류의 망원경이 있지만 관측대상에 따라 장단점이 있다. 장초점 망원경은 행성관측에 유리하고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긴 하나…과학고-KAIST 학사과정-KAIST 석·박사과정은 일류과학자가 되는 지름길인가. 이
질문
에 대한 답을 현시점에서 내리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아직 세칭 일류과학자중에서 그 3단계를 거친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최초의 과학고가 설립된지 이제 8년밖에 지나지 않았고, KAIST학사과정의 전신인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점에서 볼 때 '한국에는 왜 노벨상을 수상할만한 훌륭한 업적을 가진 과학자가 없을까'란
질문
에 대한 답은 자명한 것이다. 국민학교 코흘리개부터 입시위주의 암기식교육을 강요당하는 교육환경, 황금같은 대학시절정치문제에 골몰해 있는 대학생, 가시적인 단기적 연구 결과를 요구당하는 교수,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