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나고 있다. 특히 도시는 경제적 성장모델을 주도하고 있다.”세계적인 도시개발전략
전문
가인 리처드 플로리다 토론토대 교수는 현재 인류가 ‘도시혁명’이라고 부를 만한 중대한 시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공황, 불경기, 경기침체 등 금융위기로 불거진 각종 논란에 앞서 인류가 살아가는 터전인 ... ...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하거나 춤을 추면서 동작을 빨리하면 드레스의 빛이 더욱 밝아지거나 빠르게 깜빡거린다.
전문
가들은 즐거움과 다양한 기능을 합한 스마트 의류에도 주목하고 있다. 한 예로 어린이에게 교육적이면서 즐거움을 주는 에듀테인먼트 목적으로 의류를 개발할 수도 있다.추위와 위험으로부터 몸을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갖고 있다. 장차 조명으로의 활용이 일반화되면 무한히 성장할 분야다. 대학원에 진학해
전문
성을 쌓는다면 LED산업의 발전과 함께 미래에 대한 전망이 밝을 것이다. LED공학과 같은 융합학문에서는 주 전공에 대한 공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인접 학문에 대한 이해가 갖춰졌을 때 시너지 효과를 ... ...
나만의 공부법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H고에 재학 중인 L학생은 의사가 되고자 하는 꿈을 갖고 상담을 신청했다. “의학
전문
대학원이 폐지되면서, 지금 의대는 어느 때보다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네 성적은 높은 편이지만, 정시모집만으로 기회를 잡기는 힘들겠구나.” “그러면 수시 모집에도 지원할 수 있을까요?” “물론이지. ... ...
[통합과학] 유전정보의 변화와 표현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TAGATCGATTCTAGCCATGGCACGTAG--생략--TAA-3´ 균주 3 : 5´-ATG--생략--TAGATCGATCCTAGCCATGGTACGTAG--생략--TAA-3´
전문
가 클리닉 1) 이 논제는 먼저 DNA구조상에서 염기쌍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염기쌍의 개념이 불분명해서 GC 염기쌍이 G와 C가 순서대로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직접 실험으로확인하기를 원했다. 결국 데이비스 박사는 좀비 연구에 관심이 있는
전문
가들에게 좀비 묘약을 나눠줬다.1982년 미국 뉴욕 록클랜드주립연구소의 나단 클라인 박사는 데이비스 박사와 마찬가지로 좀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30년간 연구에 매달렸지만 결국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나온 선물일 뿐이지요.” 생기원 손웅희 로봇기술연구부장의 말이다.구조
전문
소방부대 ‘중앙119구조대’는 통돌이의 뛰어난 성능에 주목하고 여름철 해상인명 구조장비로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물에 빠진 사람에게 구조원들이 접근하는 동안에 비행로봇이 먼저 날아가 구조장비를 ... ...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석사과정)도 주목할 만하다. 과학을
전문
으로 가르치는 곳에서 경영학이 과연 필요할까.
전문
가들은 “이공계에도 경영,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예전의 교육처럼 과학·공학만을 가르치는 교육 환경 속에서는 창의력이 발휘될 수 없다는 게 이유다. 그래서 KAIST는 이공계의 대표적인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흡수하는 빛의 파장이 다르다. 시판되는 염료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여 논해보시오.
전문
가 클리닉 1) 화합물의 구조와 빛의 관계를 묻는 문제로 양자역학의 기본 문제입니다. 빛의 흡수 원리나 슈뢰딩거 방정식을 제시문에서 주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화학1에서 익히 배웠던 공명구조에서 비롯된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은하수는커녕 별도 몇 개 보이지 않는다. 도심 속의 조명이 별을 가렸다는 얘기다.
전문
가들은 빛공해를 ‘인간이 만든 과잉 빛으로 인한 공해’로 정의하고 있다. 에너지를 필요 이상으로 낭비할 뿐 아니라, 낮과 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사람과 자연의 생활 리듬을 깬다. 건강에 해를 주고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