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용어] 지오펜싱 ·외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모든 매질을 통과하는 P파의 속도가 갑자기 빨라져요. P파는 액체보다 고체에서 빠른
전
파 속도를 갖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내핵이 고체 상태일 것으로 예상한답니다. ... ...
[과학뉴스] WHO “한국 청소년 근시 세계 최악 수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발병률(67%)보다도 훨씬 높다. WHO는 보고서에서 “시력장애를 겪고 있는 인구의 절반은 이
전
에 예방할 수 있었거나, 지금부터라도 진행을 늦출 수 있다”며 “국가마다 자국의 시력 현황을 고려해 적절한 관리에 돌입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 ...
[과학뉴스] 거대 공룡이 뇌를 식힌 방법은 침?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방식은 냉장고와 에어컨 등 다양한 가
전
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재밌는 건 1억 만년
전
일부 공룡들도 이 같은 방식을 애용했다는 점이다. 루저 포터 미국 오하이오대 의대 생물의학과 교수팀은 공룡의 해부학 기록을 분석해 과거 거대 공룡들이 콧구멍과 입 속 수분을 증발시켜 뇌의 온도를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동영상 시리즈 제작에도 참여했다. eslee@postech.ac.kr 용어정리* 배위결합공유결합 중
전
자가 한쪽 원자에서만 제공되는 결합. 일반적으로 금속과 금속을 안정시키는 비금속이 이루는 금속-비금속 간 결합이다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NAIC)의 알렉산데르 볼시찬 박사였다. 그는 별이 죽어가는 단계인 중성자별(PSR1257+12)을 공
전
하는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355145a0 그리고 3년 뒤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연구원의 논문이 역시나 ‘네이처’에 게재됐다. 두 논문 모두 ‘네이처’에 실렸지만,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냉동인간 기술은 언젠가는 실현될 SF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김 교수는 15~20년 후로
전
망하더군요. 그는 “상용화까지는 아니더라도 냉동인간 기술 자체는 완성될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단세포가 아닌 여러 개의 세포로 이뤄진 장기를 냉동하는 기술부터 완성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조언도 남겼다. 그는 “한 분야를 파고들다 보면 그 속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전
할 수 있게 된다”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을 대중적으로 잘 풀어내는 게 성공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성공을 만들어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
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공부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퇴학당할지도 모른다는 공포감 때문일까. 시험 기간
전
후로 자퇴하는 학생도 간간이 있다. 1년 내내 공부에 힘써도 시험 기간만 되면 시간이 부족하다. 나는 물 뜨러 부엌에 가는 시간도 아까워서 6L짜리 물병과 시리얼을 옆에 쌓아두고 공부했다. 이런 고통스러운 시험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렙랩이라는 이름도 복제(Replicating)가 빠른 기계(Rapid-prototyper)라는 말에서 따왔다.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렙랩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 다윈의 성능은 점점 좋아지고 있다. ▲아드리안 보이어 박사가 복제한 다윈 3D 프린터. 서있는 기계가 다윈이고, 아래 부품들은 다윈이 복제한 자신의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