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아픔 느끼는 로봇 손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를 ‘환지통’이라고 하지요.연구진은 환지통을
이용
해 통증을 느낄 수 있는 로봇 손을 개발했어요. 우선, 사고로 왼팔을 잃은 실험자를 대상으로 환상 손 지도를 만들었어요. 환지통이 뇌의 어느 부위와 연결돼 있는지 알아본 거예요. 예를 들어 팔죽지 앞쪽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
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코딩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중학생과 고등학생만이 아니라 내년부터 초등 5, 6학년생도 코딩을 배워요. 학교에서 코딩을 배우기에 앞서 햄스터 모양 ... 않다가 태양에 닿으면 빨간색을 인식해 춤을 출 테니까요. 친구들도 함수코딩과 조건코딩을
이용
해 밀키를 더욱 똑똑하게 만들어 보세요 ... ...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연구하고 있어요. 모양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가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지요. 로봇을
이용
해 여러 모양의 구애춤을 실험한 결과 일부 구애춤은 같은 종 내에서만 의미가 통하고, 또 다른 구애춤은 다른 종에게도 의미가 전달된다는 것까지 알아냈답니다.Q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가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물질을 가리키지요.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발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빛을
이용
하는 광학 현미경보다 더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나온 뒤에야 비로소 바이러스를 관찰할 수 있었지요. 바이러스는 몸이 단백질 껍질과 그 안에 있는 유전물질로만 이루어져 스스로 살 수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개발하고 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BAS 기술팀 이은성 책임연구원은 “KASS를
이용
하면 기존의 GPS 오차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며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해외현장 취재 ➍] 엑소마스 로버 출격 준비! ESSP가 있는 B612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자동차’라고 할 수 있지요.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배운 뒤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
해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직접 만들어 보기도 했답니다. 자동차의 미래를 엿본 뜻깊은 시간이었어요. [기사 4] 양하람 기자·서울 창경초 미래를 경험할 수 있는 곳! 지난 5월 현대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옥시벤존, 옥티녹세이트 등의 유기질 성분이 자외선을 흡수해 열로 바꾸는 특성을
이용
해요.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 대신 자외선을 흡수해 피부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막는거죠. 그런데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과 반응하면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어요. 따라서 피부가 ... ...
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전문가들은 의료를 목적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처럼 이익이 확실할 때만 방사선을
이용
하라고 조언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 ... ...
[과학뉴스] 중국, 1억 도 ‘인공 태양’ 성공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자체 제작한 핵융합 실험로인 ‘실험용고성능초전도토카막(EAST·아래 사진)’을
이용
해 온도가 1억 도에 이르고 발열 에너지가 10MW 이상인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1월 12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의 ‘한국형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가 2017년 기록한 7000만 도를 넘어선 ... ...
[과학뉴스] 나방의 가슴 털, 스텔스 기술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흡수했고, 여러 방향의 음파를 흡수할 수 있었다”며 “나방의 음파 흡수 기술을
이용
하면 초소형 흡음기나 소음 제어 장치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11월 5~9일 캐나다에서 열린 제176차 미국음향학회에서 발표됐다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