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줄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한다면 어떨까. 시민 과학의 활성화는 생태계 보호의 시작일
수
있다. 지역 생태계에 통찰력을 주는 이른바 ‘풀뿌리 과학’이 더 활성화되길 바란다.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소비문화가 급격히 변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점원과의 대면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키오스크의 증가다. ...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단지 경제적인 측면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노력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인포그래픽] 세상에 없던 동위원소 찾는 꿈의 실험장치 FRIB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빔을 가속하는 장치. 이온 빔을 1차로 가속해 전하 증식장치로 넘겨 고속으로 가속할
수
있도록 함.3.전하 증식장치ECR 이온원에서 양이온이 된 원자에서 다시 한 번 전자를 떼어내 초전도가속의 효율을 높임. 전자를 떼어낼 때 사용된 리튬은 액체 상태로 흐르기 때문에 열에 손상되더라도 이온 빔의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분석 중이다. 지난 5월 23일 WHO 고문인 데이비드 헤이먼 영국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 교
수
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스페인과 벨기에에서 열린 두 번의 대규모 행사에서 이 질병이 확산됐을 것”이라며 “당시 행사에서 밀접한 성적 접촉이 전파를 증폭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지난해 지구를 떠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시운전에 들어갔다. 과학자들은 이후에도 루브아(LUVOIR), 로만(ROMAN) 등 최첨단 우주망원경 등을 제작해 우주의 신비를 풀어낼 ... “특히 작은 크기의 반사경을 손쉽게 만들
수
있어 소형 위성과 탐사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때는 2000~3000만 원, 적을 때는 180만 원일 정도로 편차가 컸어요. 구독자가 많아지고 조회
수
가 안정되면서 변동성이 줄어들고 있지만, 과거의 경험이 항상 불안함으로 남아있어요.”최근 그는 과학드림 일본어 채널을 오픈했다. 본 채널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큰 반응이 없었지만 7개월 째부터 ... ...
[이달의 책]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배우는 동시에 생명공학 연구에서 발생하는 윤리와 생명의 존엄성에 대해 곱씹어볼
수
있다. 끝으로 한국어판 드래곤 레시피에는 저자의 유머를 십분 살려낸 ‘훌륭한 번역’ 한 꼬집을 더 추가해본다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사용한 촬영기법을 ‘디지스코핑’이라고 부릅니다. 이 기법으로 날아가는 물
수
리를 정확히 기록해 주었네요! 궁금해요!김가윤 어린이 | 나그네 대원 Q 이 벌레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배윤혁 매미 연구원이 생물은 멋쟁이딱정벌레입니다. 따뜻한 계절에 주로 활동하는 곤충인데 월동에서 ... ...
[특집] 비눗방울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비눗방울채를 살살 불어 비눗방울의 몸집을 키우다 야속하게도 ‘펑’ 터뜨린 적 있니? 어떻게 하면 비눗방울을 잘 불
수
있을까? 과학자들의 비결 ... 비눗방울이 생긴답니다. ●계면활성제 : 물과 친한 친
수
성 부분과 물을 싫어하는 소
수
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비누 등에 들어 있다 ... ...
[과학 뉴스] 공룡의 걸음걸이? 발자국 보면 알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들어서 걷는 방식이에요.이번 연구에 대해 미국 퍼듀대학교 지구과학과 제임스 팔로 교
수
는 “용각류에는 다양한 공룡들이 있었기 때문에 모든 동물이 똑같은 걸음걸이로 걸었다고는 확신하기 어렵다”고 했어요. 랄렌색 연구원 또한 “앞으로 더 많은 용각류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죠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