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스포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어쩔 수 없는 ‘마이너’인가 보다. 온 세상의 눈과 귀가 ‘줄기
세포
’와 ‘축구공’에 쏠려 동계올림픽을 하는지 마는지 어디서 열리는지 도통 관심 밖이다. 어쨌든 오는 2월 10일부터 26일까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는 겨울스포츠의 제전이 열린다. 시속 140km로 미끄러지는 썰매(루지), 100여m를 나는 ... ...
투명인간은 맹인이다 눈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중간층의 대부분은 맥락막(얼킴막)이다. 이곳에는 많은 혈관이 얽혀 있는데, 이것은 주변
세포
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중간층의 앞쪽에는 맥락막 대신 수정체와 수정체를 붙잡는 섬모체가 있다. 이것은 빛을 굴절시켜 망막으로 모이게 한다. 형광등 아래에 볼록렌즈를 놓으면 방바닥에 상이 생기는 ... ...
1. 줄기
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연구를 허용한 영국이 줄기
세포
선도국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줄기
세포
라는 황금어장을 차지하기 위한 경주에서 한국은 한번 넘어졌고, 이전부터 우리보다 앞선 선진국이 더 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이다.그러나 아직 경주는 시작일 뿐 끝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꾸준한 연구와 함께 ... ...
다이어트 호르몬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카나비노이드라는 물질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렙틴은 칼슘 통로의 문을 막아 신경
세포
에서 칼슘농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카나비노이드를 만들려면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에 칼슘 농도가 낮아지면 카나비노이드도 줄어든다. 이런 방식으로 렙틴이 식욕을 억제하는 것이다.이탈리아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각 자릿수와 겹치는 데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만들어 합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세포
내에서 DNA 분자가 생합성될 때 주형인 모체 DNA의 2중사슬 분자와 똑같은 2중사슬 분자를 새로 만드는 것 DNA를 복제하는 효소 여러 가지 박테리아와 동물조직에서 추출되고 있으나 특히 대장균에서 추출정제된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본고사 입시에서 서울대 문리대 수석으로 입학했다.최근 김 교수는 단백질 관련 질병과
세포
생명현상에 대한 질량조사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에 한창이다. 또한 올해 열리는 화학올림피아드 학술위원장으로도 바쁘게 보내고 있다. 김 교수는 1997년 귀국한 후 영재교육센터를 통해 인연을 맺었던 5 ... ...
피부의 천적 가려움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와 T
세포
(면역
세포
)에 작용해 IgG가 항원을 중화시키고, 항원과 IgE의 결합을 차단하며, T
세포
또한 IgE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했다. 체질개선은 막연한 표현필자의 견해로는 축심여의 과민전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방법은 변병(辨病)과 변증(辨證), 즉 현대의학과 한의학을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변화 등 기후변화는 점점 더 인류의 심각한 재앙이 되고 있다.09_
세포
의 신호 전달 규명
세포
가 주변 환경에서 들어오는 신호에 반응하는 메커니즘의 많은 것들이 2005년 밝혀졌다.10_핵융합은 프랑스 품으로세계의 첫 핵융합 실험로(ITER)가 프랑스 남부 카다라시에 세워진다. 이 사업을 놓고 프랑스와 ... ...
잃어버린 줄기
세포
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의 논문은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줄기
세포
원천기술’이 남아있더라도 난치병 환자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 ...
2. DNA지문검사 과정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줄기
세포
와 체
세포
가 같은 사람에서 유래했다면 DNA지문이 일치한다. 그러나 줄기
세포
가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손상됐다면 DNA지문이 일치하지 않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친자관계나 죽은 사람 신원 확인도 가능하다. 단 친자 확인 결과는 ‘일치한다’가 아니라 ‘몇% 확률로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