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며 살게 될까? 머리 위 하늘에 동그란 해가 2개, 그것도 나란히 떠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자
.2개의 태양 아래로 얇고 긴 구름이 살짝 깔려 있다면! 마치 하늘에서 거대한 누군가가 우리를 쳐다보고 있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 2개의 태양은 거인의 눈처럼 보일 테니까.스케치북 위 아이들의 그림 속엔,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다.우선 그림 1과 같이 차가 진행하는 방향을 a-f까지 표시해
보자
. 이제 a-f를 꼭지점으로 생각한다. 여기서 동시에 초록색 신호를 받아도 차의 진행에 문제가 없는 점들을 선분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a와 b는 동시에 초록색 신호를 받아도 차의 진행에 문제가 없으므로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북반구는 육지의 반구이고 남반구는 바다의 반구이기 때문이라고 한다.사막을 생각해
보자
. 태양이 떠있는 동안은 무척 뜨겁고 밤에는 무척 추워진다. 마찬가지로 대륙은 쉽게 차가워지고 쉽게 데워진다. 따라서 북반구는 급작스런 기후변화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또한 빙하는 육지에만 쌓인다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가질 수밖에 없다.이제 발랄한 상상력은 잠시 접고 진지하게 생각해볼 시간을 가져
보자
. 과연 개에게 불 뿜는 능력이 필요할까? 우선 개는 항온동물이며 추위를 견딜 수 있는 털을 가졌기 때문에 온도를 높여줄 불이 필요없다. 사람이 땀을 흘려 체온을 낮추는 방법으로 더위에 적응하도록 진화된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공생이란 두가지 다른 생물체가 오랜 기간에 걸쳐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공생의 다른 한쪽을 이루는 개체가 미생물인 경우가 ... 않지만 그 안에 담긴 미생물 때문에 나와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는 것만이라도 느껴
보자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받아야 한다.성운 성단의 복합 구조맨눈으로 먼저 방패자리의 은하수가 진한 영역을 찾아
보자
. 독수리자리 끝부분과 방패자리 맨 위쪽이 만나는 부분에는 타원형의 별무리가 있다. 모두 7개의 별들로 이뤄진 이 타원형은 흡사 왕관자리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를 감상한 다음 바로 아래로 눈을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례는 없었다고 한다. 북한 개방 여부가 터널 성공의 관건다시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와
보자
. 한국과 일본의 바닷길은 열릴까. 기술적으로는 한국과 일본의 바닷길을 여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데 의견이 일치한다. 해저 생태계 파괴 문제도 없다. 남아 있는 문제는 한일터널 완공에 필요한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연예인의 인맥이 이렇다고 가정해
보자
(실제상황은 아님). 그리고 다음의 문제를 풀어
보자
.1. 바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웃이 가장 많은 연예인은?2. 이 안의 어디선가 소문이 발생했다. 이 경우 가장 빨리 소문을 접할 가능성이 높은 연예인은?3. 외부의 누군가가 이 안의 1명에게 소문을 전해주려고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부착하고 다녀야 한다거나, 별도의 측정장치를 잊지 않고 항상 휴대해야 한다고 생각해
보자
. 측정된 생체신호를 활용해 얻게 되는 편리함보다, 생체신호를 얻는 과정에서 감수해야 하는 부담감과 불편함 때문에 사용을 거부하거나 포기할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 별도의 장치를 몸에 부착하거나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진동수의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일까.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실로폰을 먼저 생각해
보자
. 실로폰은 적당한 길이로 금속을 자른 다음 막대로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실로폰의 건반 위에 쌀이나 소금을 올려놓고 살살 쳐보면 건반의 가운데에는 소금이 튀어나가고 실로폰을 고정시킨 지점에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