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열린 곡선이 아니라 닫힌 곡선이지.”“그건 어떤 곡선인가?”“타원이야. 포탄은 우주
공간
으로 사라지지 않고 달 주위에서 타원형 궤도를 그리게 될 것 같아.”“정말이야?”“달의 위성이 되는 거지.”“달의 달이 된다고?” 미셸 아르당이 외쳤다. 드디어 대포알의 궤도를 알아 내는 데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필라멘트에 백금보다 탄화 판지가 우수이날의 시연은 백열전구가 실험실을 벗어나 일상
공간
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됨을 의미했다. 사실 오래전부터 과학자나 발명가, 기술자는 아크등처럼 전기를 이용해 실내를 밝힐 수 있는 전구를 개발하는 일에 매달려 왔다. 1845년에 이미 탄소와 토리첼리안 진공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극을 배열하면 바둑판처럼 교차점이 생기는데, 그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
이 될 수 있다.만일 전극이 10nm 간격이라면 1cm2에 무려 1조 개의 교차점이 존재한다. 물론 두 전극 사이를 연결하는 건 단분자막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분자가 일상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까.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멀리 이동시킬 필요 없이 가까운 염수층에 저장할 수 있다. 또 퇴적분지는 빈
공간
(공극)이 많은 사암층에 점토가 굳어진 셰일층이 덮고 있는 지형인데, 이산화탄소를 사암층에 주입해 셰일층이 가둬두는 게 가능하다. 다만 유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하고 시추시설이 없어 매장하는 데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겁니다. ‘책장의 선반이 서로 평행이네. 만약 평행이 아니라면 책을 넣을 수 있는
공간
이 적어지니까 평행하게 만들었구나’라고 생각해 보고 일기예보를 보면서도 ‘비 올 확률이 30%라…, 우산을 가져가야 하는 걸까?’라고 의사 결정을 해 보는 겁니다. 이렇게 실생할과 수학을 연결해 보면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들려는 계획에 각국 정부가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결국 우주를 언젠가는 개척해야 할
공간
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티는 특정 천체에서 날아오는 전파에 관심을 둘 뿐 인위적인 행동을 취하는 데 목적을 두지 않는다.흥미로운 건‘얌전한’ 것처럼 보이는 이 연구에 잠재적인 폭발력이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연상하면 된다. 거주하는 사람 수를 늘려 주택난을 해결하듯 정보처리를 할 수 있는
공간
을 늘려 엄청난 성능의 반도체를 만드는 것이다.“내 연구는 하이브리드”황 교수는“나노와이어나 DNA 분자를 따로 연구하는 사람은 많다”며 “하지만 이 둘을 접합시키는시도는 우리 연구단이 선도하고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영역을 확장해 나가다가 만날 때는 경쟁하지 않는다.③ 양쪽에서 흰 개미들이 가운데
공간
을 뚫고 경쟁한다면 둘 중 먼저 간 쪽이 영역을 차지한다.④ 숫자는 곳곳에 장애물이 있을 때 각 경로로 이동해 갈 확률이다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등장하는 차세대 기술은 무한한 상상의 장을 열어준다. 영화‘스타 트렉’에서는
공간
을 이동하는 우주선이 등장하고, ‘프리퀀시’에는 과거의 아버지와 현재의 아들이 시간을 건너뛰어 무전을 주고받는다. 지금은 영화 속 상상력의 결과물일 뿐이다. 하지만 1970년대 ‘007 제임스 본드’ 시리즈에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태양계 행성처럼 다른 별에 속해 있는 행성이다. 우주에는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공간
에만 100억 개의 은하가 있고 은하 하나는 평균 100억 개의 별로 이뤄져 있으므로 태양처럼 행성을 거느린 별도 많을 것이다. 한 교수는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그 존재를 입증하지 못하다가 199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