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스페셜
"
일
"(으)로 총 13,14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선행은 '작은 친절과 위로'에서 시작
2024.04.13
속에서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대부분 작은 관심과 따뜻한 말 한 마디가 필요한 경우
일
때가 많다. 선행을 실천할 기회가 잘 없다는 생각과 다르게 선행은 작은 친절과 위로를 통해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 어떠냐고, 잘 지내고 있냐고 묻는 안부와 지금도 잘 하고 있다고 하는 작은 응원이 그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기에 직면한 곤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는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여기서 바이오매스는 생물의 총 덩어리를 의미한다. 독
일
뷔르츠부르크대 연구팀은 지난해 9월 27년간의 곤충 바이오매스 데이터를 분석해 기상 이상 현상이 온대 지역의 곤충 바이오매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처음에 연구팀은 살충제의 영향 및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과학자의 윤리를 좀먹고 성장하는 약탈적 학술지의 퇴출을 위해 객관적인 공정성의
일
부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는 형편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발견 이후 할리우드 스타급 인기를 누렸다. 루시를 보기 위해 박물관에 줄을 서는
일
이 비
일
비재했으며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을 때 시간을 내어 루시를 관람했다는 건 전 세계 뉴스거리였다. 이같은 관심과 인류학 역사상 루시의 중요성 때문에 여전히 주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스라이팅'을 극복하는 방법
2024.04.06
자신을 잘 안다고 여겨지는 사람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생각과 감정, 정체성을 부정당하는
일
이 잦다보니 자신이 이상한 사람인 것 같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했다. 이는 학대적인 관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패턴이다. 맥길대의 연구자 윌리스 클레인은 관계에서 가스라이팅을 당한 경험이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균주와 651개의 단백질 간 새로운 상호작용이 확인됐다. 이번에 확인된 상호작용 중
일
부는 생리현상의 근본적인 작용 원리를 알아내는 단서가 됐다. 예를 들어 같은 종류의 박테리아 균주에게서 특정한 단백질과 결합하는 패턴이 발견됐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면역 조절 체계를 비롯해 다양한 체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
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해를 끼쳤다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그것이 뜻 깊은
일
로 남을지는 미지수다. 글을 쓰는
일
을 하면서 가장 큰 보람을 느꼈던 순간들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다. 벌써 새 해의 3월이 지나가고 있다니 시간의 빠름을 믿을 수 없지만 타인과 즐거움을 나누는 경험을 통해 별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무시한 억지
일
뿐이다.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무관심은 놀라운
일
이다. 의학과 의료제도는 현대 과학기술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분명하다. 실제로 의학은 현대 '바이오'의 다른 이름이라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의대 쏠림을 말끔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패턴을 선호하는 멜포메네와 티마레타는 선명한 붉은 날개를 가진 상대를 발견했을 때 동
일
하게 특정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흰 날개를 선호하는 사이드노는 구애 행동을 할 때 이 나비들과 달리 '레구칼신1(regucalcin1)'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