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크래프트
부루드워
스타크
연예인
star
starr
broodwar
스페셜
"
스타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중에서도 화학처럼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덜 알려진 분야의 과학자도 많이 있지만, ‘
스타
’라는 기획어에 걸맞게 그런 선택은 하지 않았다. 네이처와 사이언스 등 영미권의 주류 과학잡지는 이렇게 특정 지역의 과학을 소개하는 기획을 자주 한다. 그 때마다 ‘아프리카의 과학’ ‘남미의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에 광속의 5분의 1 수준인 초소형우주선 1000개를 보내는 ‘
스타
샷 프로젝트’를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지구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영원할 수 없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지구 밖 별들로 시선을 돌리고 우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것이죠. 케임브리지 대학의 석좌교수인 스티븐 호킹. 그는 아인슈타인 이후 최고의
스타
과학자이다. 대중적 인지도만 높을 뿐, 실제 그의 연구 업적에 비해 명성이 과대포장돼 있다는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블랙홀과 양자물리학을 결합해 우주와 시간의 기원을 탐구한 그의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중요하다. 지구를 떠나는 것이 인류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2016년 6월
스타
무스 페스티벌에서 연설한 내용의 일부다. 호킹 박사는 자원 고갈과 환경오염,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지구 멸망에 대한 우려를 늘 표하곤 했다. 그는 인간이 계속 생존하기 위해서는 지구를 넘어 다른 행성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시작하면서 왜 벌거숭이두더지쥐를 택했는지 깨닫게 한 논문이 실렸다. 칼리코의 버펜
스타
인과 동료 두 사람이 저자인 논문의 결론은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늙지 않는다’는 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즉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병이나 사고로 죽는 것이지 늙어 죽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그 특징 가운데 하나가 비만이라는 데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컬럼비아대 코우
스타
니 교수팀은 내분비기관으로서 뼈를 재조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지방세포가 렙틴을 비롯해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지방이 단순히 저장기관이 아니라 내분비기관이기도 하다는 ... ...
[지뇽뇽의 色수다] (ep8) 어떤 여성들이 포르노 업계에 종사할까?
2017.01.15
선택으로 인해 단순히 ‘이 일이 적성에 맞아서’ 하는 성공적이고 행복한 여성 포르노
스타
를 떠올리기만 해도 발칙하고 용납할 수 없는 것은 왜일까? "거짓말 하지마 너는 어렸을 때 학대를 받았고 사실은 자존감이 낮은거야"라고 해 가면서 지켜야 하는 어떤 고정된 여성성, 통제하고픈 ‘여성의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7위까지 수직 상승했다. 네이처 인덱스 평점이 지난 4년간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한 라이징
스타
세계 100개 기관 중 11위에 올랐으며, 주목대상 연구기관 25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세계의 눈으로 바라본 IBS의 저력은 책의 후반부에서도 계속 확인할 수 있다.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1% 연구자에는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5년 차에 불과하나, 우수한 연구성과들로 과학저널 에서 주목할 만한 '라이징
스타
'로 선정되는 등 좋은 시작을 보이고 있다"라며 젊은 과학자들에게 "꼭 IBS에 와서 함께 연구하길 바란다"라고 권유했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기조강연으로 행사 시작 기조강연을 펼친 브루스 ... ...
과학계에도 금수저, 흙수저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25
연봉은 5만 달러(약 5517만 원) 이하였다. 교수가 되면 상황이 좀 나아지지만 그래도
스타
급 과학자들이 벌어들이는 수입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연구진은 약 3600명의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과학자의 20%가 소득 불만족 때문에 과학자라는 직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