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성
영광
영예
광명
희망
서광
신용
스페셜
"
명예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감염생물학과 총괄책임교수(48·독일 훔볼트대
명예
교수)는 10월 13일 서울 연세대에서 본지와 단독 인터뷰를 하며 이같이 말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지난달 12∼14일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회장 최준호) 정기학술대회에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처음 ... ...
첫 여성 천문학자, 육상선수 출신 천문학자, 무한계단 고안한 천재수학자 웃었다
2020.10.06
미국 프린스턴대, 시라큐스대 등을 거쳐 현재는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명예
교수 직을 맡고 있다. 펜로즈 교수는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와 함께 ‘특이점 이론’에 대한 증명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무거운 별은 핵연료가 소진되면서 수축한다. 펜로즈 교수는 ... ...
노벨상 놓친 호킹 박사 절친 펜로즈 등 블랙홀 연구자 3인 노벨물리학상(재종합)
2020.10.06
또다른 천문현상인 빅뱅이론을 뒷받침한 우주물리학자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
교수와 외계행성을 처음으로 관측한 미셸 마요르·디디에 쿠엘로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가 수상했다. 손봉원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법칙이 우주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 ...
노벨물리학상에 블랙홀의 신비 벗겨낸 천문물리학자 3명...女수상자 역대 4번째(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
명예
교수와 라인하르트 겐첼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장, 앤드리아 게즈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우주에서 가장 낭만적인 현상 중 하나인 ... ...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한 과학자들 노벨생리의학상(재종합)
2020.10.05
받았다. 1969년 선임연구원으로 NIH 임상센터에 입사했다. 입사한 지 51년차를 맞은 지금도
명예
연구원 직함을 유지한 채 전염병 부문 책임자이자 수혈의학 연구 부소장으로 남아있다. 호턴 교수는 1950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지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 앨버타대에 따르면 17세 때 루이 ... ...
노벨생리의학상 받은 미·영 트리오는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받았다. 1969년 선임연구원으로 NIH 임상센터에 입사했다. 입사한 지 51년차를 맞은 지금도
명예
연구원 직함을 유지한 채 전염병 부문 책임자이자 수혈의학 연구 부소장으로 남아있다. 하비 올터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 NIH 제공 호턴 교수는 1950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지는 외부에 ... ...
'코로나19 극복은 새로운 도전' 노벨상 수상자도 팔 걷어붙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면역관문억제제 개발로 2018년 생리의학상을 받은 혼조 다스쿠(本庶佑) 일본 교토대 의대
명예
교수는 중국 공산당이 생물학 무기를 제조하다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만들었다고 발언했고, 로이터통신 등은 그의 언급이 페이스북을 비롯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 ...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위팅엄 미국 빙엄턴대 교수,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조대 교수 겸 아사히가세이(旭化成)
명예
연구원이 선정됐다. 이들은 1980년대 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에 공헌했다. 40년 가까이 지난 후에야 업적을 인정받았다. 구디너프 교수는 97세로 사상 최고령자로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CNN은 “논쟁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
2020.09.30
느껴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공식품의 합리적 소비
2020.09.16
말아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