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균형"(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2020.02.01
- 가설에 따르면 병원균은 점점 숙주와 공생하는 방향으로 적응한다. 이를 이른바 병원성 균형 이론이라고 한다. 병원체는 낮은 병원성을 향해 진화하고, 숙주는 면역성을 향해 진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제법 설득력이 있었다. 주혈흡충이나 클라미디아 폐렴균, 장내 상재균 등을 보면 인간과 ... ...
- 박쥐는 왜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온상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2020.01.29
-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 역시 "박쥐는 (바이러스와) 생태적 균형을 유지한 채 살고 있었을 뿐"이라며 "우리가 박쥐에게 다가간 게 원인이지 박쥐가 이번 사태의 원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혐오나 두려움을 보일 필요는 없다고 지적한다. 일상생활에서 보통 ... ...
- AI반도체 등 지능형반도체 R&D에 10년간 1조원 쓴다동아사이언스 l2020.01.19
- 사업 가운데 1조원이 넘는 규모의 사업은 처음이다. 두 기관은 그간 메모리 중심의 불균형적 산업 구조를 극복하고 차세대 반도체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17년에는 해당 사업 기획을 추진했고, 지난해 4월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2020.01.11
- 우리 몸의 면역은 다양한 감염균과 절묘한 균형을 이룬 결과인지도 모른다. 나쁜 침입자니까 그냥 박멸하면 모두가 행복해지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줄어들면서 위염이나 위궤양은 줄었지만, 반대로 식도염이나 식도암은 늘었다는 보고가 있다.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숙주를 공격한다. 반대로 면역력이 너무 세지면, 정상적인 면역계가 자신을 공격한다. 균형이 핵심이다. 그렇다면 요즘 주목받는 인류의 오랜 친구는 누가 있을까? 친구인지 적인지 애매한 녀석들이다. 사실 이번 편의 주제였는데, 서론이 길어지다가 분량 조절에 실패했다. 다음 편에서 인류의 오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12.15
- 크기는 먹이로부터 얻은 에너지와, 움직임이나 물질대사를 통해 소비하는 에너지 간의 균형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보통 육상동물들은 작은 동물이 더 자그마한 먹이를 잡아 먹고, 거대동물은 비교적 큰 동물을잡아 먹는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바다를 호령하는 최고 거대 동물인 고래는 ... ...
- 그린란드 빙하 3조8000억t 사라졌다...녹는 속도 90년대보다 7배 빨라동아사이언스 l2019.12.11
- 서기원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등 50개 연구기관 96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빙하질량균형비교운동(IMBIE) 연구팀은 1992~2018년까지 그린란드의 빙하가 3조 8000억t 사라졌으며 그 결과 해수면이 10.6㎜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를 이달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IMBIE는 NASA의 빙하 관측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2019.12.10
- 것이다. 다음으로 암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이다. 암은 생리 균형이 깨진 세포들로 이뤄져 있고 따라서 산화 스트레스에 약해 세포막에 지질 과산화물이 축적되기 쉽다. 따라서 이게 신호가 돼 세포가 죽는 시스템이 있다면 암세포에게는 아킬레스건이 될 것이다. 나이 ...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2019.12.07
- 수술로 절제해야 한다고 했지만, 갈렌은 수술보다 하제를 권했다. 암은 체액의 불균형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었고, 전염병이라고 생각하는 의사도 있었다. 혹시 인간은 처음부터 암에 취약하게 진화한 것이 아닐까? 현대인의 30%는 암에 걸리는 데다가, 기원전 기록까지 있으니 말이다 ... ...
- "데이터 홍수 시대, 개인정보 기업에 뺏기지 말고 스스로 지켜야"동아사이언스 l2019.11.30
-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일부 통제권만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울어진 힘의 균형을 개인에게 돌릴 수 있다면 그로 인한 장점은 무수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개인데이터에 대한 결정권을 당사자가 가진다면 기존보다 더 정보에 입각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개인 데이터를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