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니버시티
대학
대학교
뉴스
"
university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증기로 신재생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발생하는 수중기를 물리적인 일(Work)을 할수 있는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University
of Columbia 제공 샤힌 교수는 논문에서 “수증기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할 때는 날씨가 중요하다”며 “에너지는 상대습도가 낮고 바람의 속도가 빠를수록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했다. 연구팀은 ... ...
건물로 전기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09.17
University
of Exeter 제공 최근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이 뜨고 있다.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기존의 건축 자재 대신 태양광 발전 모듈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BIPV는 태양광 산업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산 바이그 영국 엑스터대 환경및지속가능성연구소 박사는 ... ...
지구온난화 따른 아시아 고산빙하 운명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온도가 1.5도 이하로 상승할 경우 남는 빙하의 비율을 쪼개진 도넛으로 표현했다 - Utrecht
University
제공 그 결과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최대로 수행해 지구 평균온도상승률이 1.5도 이하로 억제될 경우, 전체 고산 빙하의 65%가 남게될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과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 ...
옛 양피지 문서 훼손하는 미생물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7
보라색 손상 부분과 하얀색 부분간의 박테리아 구성 비율을 그린 모식도 - Tor Vergata
University
제공 연구팀은 부위별 박테리아 구성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박테리아 종이 양피지를 보라색으로 변화시키는 지 확인하기 위해 화학물질 구성을 파악하는 라만 스펙트럼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 ...
전기료 낮추는 쿨링 시스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네이처 에너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복사냉각패널의 모식도. -
University
of Stanford 제공 라만 교수는 “각종 건물에 설치된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 냉각용 기계가 세계 총 전력생산량의 15% 정도를 쓴다”며 “새로 개발한 냉각 패널을 사용하면 이들의 전력소모량을 낮출 수 있을 ... ...
멸종동물의 상징, 도도새의 성장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뼈, 완전히 성숙한 도도새의 뼈다. b,d,f는 이를 차례로 확대해 찍은 사진이다. -
University
of Cape town 제공 앵스트 교수는 “성인이 되기 직전 FB층이 넓어, 이때 가장 크게 성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많은 도도새 뼈 표본에서 이차적인 골층과 칼슘을 재흡수해 뼈가 다시 ... ...
연인들이 헤어지는 과학적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21
경우 겪게될 거주지 문제같은 불확실성처럼 사회 경제적 측면이 크게 작용했다. -
University
of Utah 제공 또 연구팀은 관계 지속 여부를 고민하는 커플들이 대부분 관계를 이어가야 할 이유와 끝내야 할 이유를 모두 갖고 있어 더욱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조엘 교수는 “오래된 ... ...
프랑켄슈타인 공룡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7
칠레사우르스는 오르니소스셀리다목의 조반류(Ornithischia) 공룡의 하나로 분석됐다. -
University
of Cambrige 제공 칠레사우르스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연구팀은 73개의 밝혀진 공룡분류군의 457가지 특징점을 점수로 환산해 비교했다. 그 결과 칠레사우르스가 턱뼈에 이빨이 적은 것은 초식인 조반류 ... ...
6만년 전, 인도네시아에 초기 인류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현생인류의 것이며 약 7만3000년 전에서 6만3000년 전의 것으로 확인됐다. - Macquarie
University
제공 웨스타웨이 교수는 “이번에 나온 화석의 연대가 약 6만 년 전 이곳에 인류가 왔다는 기존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같은 것으로 나오면서 앞선 가설의 신뢰도가 높아졌다”며 “앞으로 유전적 분석과 ... ...
자는 동안에도 학습 가능?...새 기억은 렘 수면때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뿐 기억의 형성과 파괴 메커니즘이 모두 발생한다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PSL research
University
제공 수면장애가 없어 8시간 이상 건강한 수면을 유지하는 20~31세 사이 총 2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수면은 렘 수면과 비렘 수면이 번갈아 나타나는데, 약 90~120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