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바이러스 유전체를 박테리아 플라스미드와 같이 조작하기 쉬운 전달체로 옮긴 후 유전자
삽입
‧삭제‧치환 등 원하는 변이를 일으켜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변이 유전체는 DNA 상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체는 RNA이므로, 세포 외 전사(in vitro transcription) 기술을 이용하여 DNA로부터 RNA ... ...
1000년 전 ‘똥’이 지금 ‘똥’보다 훌륭…장내미생물 3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늘리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코스틱 교수는 ”비슷한 박테리아종에 고대 게놈을
삽입
해 실험실에서 고대 미생물을 부활시킬 방법을 찾고 있다“며 “실험실에서 고대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다면 미생물의 생리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고대 분변 ... ...
동물과 식물의 사랑 고백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01
사람의 뇌파를 읽고 문장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뇌 피질 위에 전극을
삽입
해 뇌파를 측정하는 장치 ‘ECoG’을 사용했습니다. 이 실험에는 간질 치료를 위해 이미 뇌에 전극이 있는 사람들의 동의를 얻어 진행됐습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몇 명의 어른과 아이가 방에 ... ...
세포 담은 스텐트로 재협착 부작용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혈관전구세포를 스텐트에 부착했다. 이후 스텐트를 혈관이 막힌 토끼와 돼지 등 동물에
삽입
하고 효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세포를 넣은 스텐트는 혈관 주변에서 내벽이 다시 자라나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혈관이 협착되며 손상됐던 부위의 세포도 다시 자라나는 것이 ... ...
유전자 교정 기술로 모기 말라리아 전파 능력 없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뒤 이 유전자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잘라내고 이 자리에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삽입
했다. 실험 결과 이렇게 교정된 모기는 다음 세대에도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그대로 전달했다. 또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가진 모기와 일반 말라리아 매개 모기와의 사이에 태어난 자손도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 ...
계란에서 배양하는 코로나백신 임상 돌입...팬데믹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위해 뉴캐슬병 바이러스 유전자에 에볼라 바이러스 유전자를 추가해 만든 뒤 계란에
삽입
해 배양시켰다. 이를 통해 에볼라 바이러스 단백질로 코팅된 뉴캐슬병 바이러스를 얻는 데 성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백신을 제조한 것이다. 마운트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 연구팀은 에볼라 바이러스 단백질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엔지켐생명과학, 구강점막염 치료제 임상2상 모집완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컵홀더에 QR코드를
삽입
해 암 예방 퀴즈에 참여토록 했다. 퀴즈 정답자 중 500명을 추첨해 모바일 교환권을 증정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오는 20일까지 독일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에 참가할 기업을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체내
삽입
가능한 봉합사형 변형 센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확인했다. DGIST 제공 ■ 이재홍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체내
삽입
이 가능하고 수술 부위에 직접 봉합돼 고정 및 사용가능한 봉합사형 변형 센서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소자 자체가 섬유형으로 구성돼 수술 과정에서 조직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배터리가 필요 없는 ... ...
무겁고 두꺼운 VR기기, 안경처럼 얇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줄였다. 2차원 렌즈 배열은 작은 렌즈들이 병렬로 배열된 광학 소자다. 2차원 렌즈 배열을
삽입
하면, 눈과 렌즈 사이에 확보돼야 할 거리를 그대로 확보하면서 렌즈의 초점거리를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공간을 기존 대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한번 더 두께를 줄이기 ...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확인했다. 생쥐의 수염을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뇌 부위에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장치를
삽입
하고 태양전지로 생산된 전력을 원격 스위치로 작동시켰다. 그러자 수염이 앞뒤로 정확하게 움직이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태 교수는 “광유전학은 정밀하게 뇌 기능을 조절하는 뇌과학 연구뿐 아니라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