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삽입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3단계의 과정만 거치면 모든 식물의 원하는
부위
에서 빛이 나도록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어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식물에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보상 행동을 담당하는 주요 뇌
부위
및 도파민 경로 - 보상 행동을 담당하는 뇌의 중요
부위
는 복측피개영역과 중격의지핵 그리고 전전두엽피질이다(빨간 원). 한편 도파민을 분비하고 수용하는 경로는 총 네 가지로 각각의 역할이 다르다. 이중 복측피개영역과 중격의지핵을 연결하는 중뇌 변연계 ... ...
파리 날개 근육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움직임에 대한 개별 공막의 역할을 예측하는 신호 변환기도 개발했다. 그런 뒤 곤충의 각
부위
근육 활동이 비행시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해 실제 파리와 유사하게 비행할 수 있는 로봇 파리를 완성한 것이다. 분석 결과 이렇게 완성된 로봇 파리는 인공적으로 구현한 ... ...
"안아줘요" 따뜻한 포옹, 몸과 마음 건강하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포함됐다. 연구팀은 사람 또는 로봇처럼 만지는 대상, 인구통계, 접촉 방식과 접촉
부위
, 기간과 횟수 등에 따라 사람의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신체 접촉은 성인과 어린이의 통증, 우울증 및 불안을 줄이고 신생아의 체중을 증가시키는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전 ... ...
걸음걸이 감지해 당뇨 환자 건강 지키는 전자 양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절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기홍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은 발 뒤꿈치보다 중족골
부위
에 압력을 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보행 방식이 궤양을 조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발에 가해지는 압력과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양말에 심탄도(BCG) 센서를 장착했다. 심탄도는 심장이 ... ...
음악이 감정을 강렬하게 자극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92개의 화음 진행 중 8개를 무작위로 들려줬다. 각 화음 진행을 들을 때 몸의 어떤
부위
에서 감각을 느꼈는지 각 음악을 듣고 10초 이내에 연구팀이 제공한 신체 지도에 표시하도록 했다. 음악을 들을 때 몸에서 감각을 느낀다는 의미는 심장이 빠르게 뛴다거나, 등골이 오싹해진다거나 하는 등의 ... ...
욱한 마음 누르는 뇌 원리 찾았다…'감정 조절' 치료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확인했다. 이 영역들은 높은 수준의 인지기능, 추상적인 사고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
들이다. 해당 뇌 영역들이 활발하게 활성화되는 사람일수록 부정적인 감정이 자신에게 영향을 덜 미치도록 만드는 탄력성을 보인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감정 조절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 ...
표적항암치료 위한 '차세대 RNA 혁신신약 나노전달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기존 RNA 치료제는 저분자화합물에 비해 큰 분자량과 낮은 안정성 때문에 원하는 표적
부위
로 정교하게 전달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RNA를 나노 입자에 고분자화하는 방식으로 전달 효율을 높였다. 연구팀은 나노 입자의 크기 및 표면을 개질하면 나노 입자의 전달 패턴을 용이하게 ... ...
스마트폰 앱으로 '젊은 치매' 징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실행 기능을 살펴볼 수 있는 테스트를 담고 있다. FTD가 있으면 실행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
가 축소되기 때문이다. 연구에는 평균 연령 54세인 360명의 참가자가 참여했다. 이들 중 60%는 FTD 증상은 없지만 FTD 관련 유전자를 가졌다. 20%는 FTD 증상이 있었다. 연구 결과 유전적으로 FTD에 걸릴 ... ...
뇌에 '바코드' 새겨 일시 기억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등과 관련한 사적인 경험에 대한 기억을 '일화 기억'이라고 한다. 과학자들은 뇌의 해마
부위
가 ‘일화 기억’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지만 일화 기억이 정확히 어떻게 뇌에서 암호화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내지 못했다. 언제, 어떤 일화 기억을 떠올리는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