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르면 티 나요" 빛나는 고감도 압력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쉽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센서를 활용한 예도 소개했다. 센서를 얇은
박막
으로 만들어 피부에 붙이면 맥박이 뛰는 대로 빛이 발생해 신체정보 데이터를 바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지문의 높낮이도 인식할 수 있어 생체인식에도 활용할 수 잇다. 로봇의 피부에 붙이면 로봇이 ... ...
폴더블폰 시대…'플라스틱 vs 유리' 디스플레이 소재 맞대결
연합뉴스
l
2020.02.13
있다. 전작 '갤럭시 폴드'가 커버 윈도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것과 달리 Z플립은 초
박막
유리(UTG·Ultra Thin Glass)를 채택해 유리 소재의 급성장이 전망된다. 13일 업계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올해 폴더블 커버 윈도 시장 점유율은 투명 폴리이미드(CPI) 필름이 83%로 UTG(17%)를 크게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심재윤 포스텍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컴퓨팅 시스템(SoC) 설계 기술이 필수다. 심 교수는 나노 바이오센서와 루프안테나,
박막
배터리 등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SoC를 개발했다. 또 이를 이용해 인체에 삽입할 수 있는 임플란트형 초소형 나노와트 무선센서를 만들었다. 심 교수는 이 기술을 응용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실시간으로 당을 ... ...
사진 한장으로 생산중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내부결함 들여다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생산라인에서 바로 파악하는 측정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3차원 나노소자는
박막
을 10층 이상 겹겹이 쌓은 나노소자로 반도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 첨단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소자의 성능이 향상되는 만큼 공정 기술도 복잡해진다. 이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도 ... ...
화면은 '단단'하고 접히는 부분은 '유연'한 폴더블폰용 커버윈도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06
하는 ‘힌지’ 부위에서 주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두께를 얇게 해 접을 수 있는 초
박막
강화유리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유리 두께를 얇게 만들기 어려워 양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규소와 산소의 연결 구조와 비율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 규소 하나와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패로 간섭현상이 적용된 분광기 장비를 활용했다. 패브리 패로 간섭현상은 파장이 다른
박막
을 쌓는 방식으로 다중간섭현상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다중간섭현상은 특정한 파장의 빛만 투과시키고 다른 파장들은 반사한다. 메이는 이 방법을 통해 원하는 황도광 데이터만 선별했다. 그 결과 메이는 ... ...
종이 같은 디스플레이 실현 '열쇠' 쥔 휘는 절연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필요했는데, 연구팀은 고온 공정 없이 상온에서 용액을 한 번 코팅해 폴리이미드 절연
박막
을 만드는 공정을 개발했다. 연구에 참여한 한국화학연구원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 연구팀이 한 자리에 모였다. 왼쪽부터 김윤호 책임연구원, 박현진 박사후연구원, 유성미 연구원이다. 한국화학연구원 ... ...
세계 최고 수준 인공 촉각세포 만든 김도환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글로벌 웨어러블 스마트 센서 시장은 연평균 38.7%씩 성장하고 있다.
박막
형 전자피부 시장규모는 2026년 2695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전망된다.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 역시 초기의 입는 형태에서 피부에 부착하거나 몸에 삽입하고 설치하는 형태로 진화하며 전자피부 원천기술 확보 ... ...
[인사] 나노종합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1.01
김진수 △나노인력양성센터장 배우호 ▽ 실장급 △나노패턴공정실장 오재섭 △나노
박막
공정실장 강민호 △나노집적공정실장 홍대원 △시스템IC개발실장 김영수 △IoT나노센서개발실장 양충모 △나노융합소재개발실장 이종권 △나노바이오개발실장 이석재 △나노분석실장 정칠성 ... ...
자외선까지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형광체를 만든 후, 이를 CIGS 태양전지의 투명전극 층 위에 발랐다. 그 결과 유연
박막
태양전지가 가시광과 적외선, 자외선까지의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의 두께를 조절해 소자 표면에서의 반사를 최소화해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했다. 장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