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희
즐거움
희열
행복
환락
희락
쾌락
뉴스
"
기쁨
"(으)로 총 321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화문에서/윤신영]인생을 바꿀 과학자와의 만남
동아일보
l
2015.10.21
‘행사 이후 1816일 지남’이라는 문구가 선명했다(20일 기준). 바라는 것 없이 나눔만으로
기쁨
을 누린 사람들의 소박하지만 위대한 행사가 처음 열린 지 이제 곧 2000일을 넘기겠다. 2만 일을 넘길 때까지 오래 이어지면 좋겠다. 누가 알겠는가. 그 강연을 듣고 처음 과학자의 꿈을 꾼 새싹이, 그땐 강연 ... ...
“이차전지, 그래핀 등 UNIST 각인시킬 10개 분야 만들겠다”
2015.10.16
뿐 나머지 지표는 모두 1위였다”며 “백지 상태의 무(無)에서 학과를 만들고 발전시키는
기쁨
과 보람이 매우 컸다”고 말했다. UNIST에서 그의 이런 노하우는 빛을 발했다. 지하에 1000억 원 규모의 첨단 연구 장비를 모아 필요한 연구자는 누구든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연구지원센터(UNIST Central ... ...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09.28
모두 가지고 있다”며 “만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음식을 줄 때
기쁨
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결국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한 속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악한 속성을 최대한 멀리하는 것이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바라 보는 셀레나의 모습을 표현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아름다운 것은 영원한
기쁨
이다. 그 사랑스러움은 점점 커져 결코 무(無)로 가는 일이 없다.” 19세기 영국의 시인 존 키츠는 그리스신화 속 목동 엔디미온의 아름다움을 노래했다. 신화 속에서 목동을 보고 사랑에 빠진 이는 달의 여신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하버와 보슈는 오랜 연구 끝에 질소비료 제작법을 발견했다. 인류를 구원하게 됐다는
기쁨
도 잠시, 두 차례의 세계대전 속에서 질소는 독가스와 폭탄 제조에도 사용된다. 전쟁이 끝난 후, 하버는 암모니아 합성법으로 노벨화학상을 받지만 동시에 독가스전의 전범으로 낙인이 찍히며 명예와 ... ...
당근주스, KTX-산천, 나로호…셋의 공통점은?
2015.07.24
아직 캄캄한 새벽, 연구팀이 만든 열차가 마침내 시속 300km를 돌파했다. 다들 벅차오르는
기쁨
에 환호성을 질렀다. 하지만 이날은 김 원장에게 가장 속상한 날이기도 하다. 이날 오후 시속 300km 돌파 시연 행사를 준비했지만 열차가 출발한 지 얼마 안 돼 멈췄다. 김 원장은 “2002년 들어 가장 더운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상처를 받아들이고 소화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슬픔’은 항상 사고뭉치로 ‘
기쁨
’의 구박을 독차지하지만, 라일리가 심적 어려움을 딛고 일어설 때 가장 큰 역할을 해낸다.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물어보세요. 꼭 꿈을 이루길 바랍니다.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팀 카이스트가 함께
기쁨
을 나누고 있다. - 휴보랩 제공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7월 15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스타트업 기업 위한 ‘황금의 손’ 과학기술인 멘토들의 활약
2015.07.10
장려금 1000만 원을 수상했다. 멘토인 최진 루트아이템 대표(왼쪽에서 두 번째)도 수상의
기쁨
을 함께 했다(왼쪽).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 장악에 나선 벤처기업 펫피트 연구진이 제품을 앞에 놓고 향후 전략을 논의하고 있다. 펫피트 측은 멘토의 조언에 따라 스마트폰 앱을 개발한 ... ...
이기적인 선수는 골을 넣어도 행복하지 않다?
2015.07.05
골보다 어시스트에 집중했던 것은 어쩌면 국가대표로서 최초의 국제대회 우승이라는
기쁨
을 느끼기 위한 본능적인 행동은 아니었을까. 자신이 기대했던 것보다 좋은 결과가 아니면 만족할 수 없기 때문은 아니었는지 추측해본다. 어쩌면 많은 성공을 경험하고 많은 것을 소유하는 것이 행복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