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험범위"(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려동물, 앞으로는 집에서 치료하면 불법?동아사이언스 l2016.11.20
- Q. 최근 동물보호법 개정안에서 개와 고양이에 대한 자가 진료를 금지한다고 합니다. 이제 동물 약국에서 아무것도 못 사게 되는 건가요? A. 동물보호법 개정안은 최소한의 존중도 받지 못하는 개와 고양이를 위해 법을 고치는 안건입니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터라 명확한 해석은 없습니다. 다만 이 ... ...
- 페이스북의 가짜 뉴스, 미 대선에 영향을 미쳤나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6.11.14
- 소셜미디어에서는 거짓으로 만들어진 뉴스들이 판을 칩니다. 누군가 사진을 합성하고 조작한 뉴스라도 친구들의 ‘좋아요’와 ‘공유’를 타고 순식간에 퍼져나갑니다. ‘좋아요’나 ‘공유’ 버튼 하나 누르기 위해 일일이 팩트 체크(사실 확인)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페이 ... ...
- 개를 키우고 싶은데, 동물병원 비용이 걱정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11.06
- ▼ 개소리 요약:Q. 개를 키우고 싶은데 동물병원비가 걱정이 돼요. 병원 안다니고도 잘 키울 수 있을까요? A. 아기를 키우는데 병원을 안 다닐 수 있나요? 병원비가 걱정이 된다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GIB 제공 개님이 저희 집에 온지도 벌써 1년 반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소소 ... ...
- [써보니]애플 아이폰7 속속들이 뜯어보기2016.10.21
- 아이폰7 플러스를 한 달 정도 썼다. 제품은 첫 출시일에 일본에서 구했고, 리뷰는 더 빨리 시작할 수도 있었지만 애초 더 빠른 리뷰를 위해 아이폰7을 서둘러 샀던 건 아니다. 조금 여유 있게 제품을 접하고자 했던 목적이 더 크다. 이제 아이폰7이 세상에 등장한 지 한 달이 지났고, 10월21일 국내에도 ... ...
- 똑똑하게 스마트폰 고르는 법2016.09.14
- 혹시 지금도 휴대전화 판매점에서 마법의 주문, “최신폰 주세요”를 외치고 계시진 않나요? 한 번 사면 오래 써야 하기 때문에 돈을 좀 더 들이더라도 좋은 걸 사겠다는 문화는 우리 가전 소비 시장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미신같은 믿음입니다. 그 때문에 이 모든 걸 덮을 수 있는 최신폰이 입에 ...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2016.08.16
- GIB 제공 차가운 맥주 한 잔이 성관계보다 더 확실한 쾌락을 준다. - 마르셀 프루스트 술을 잘 못하는 필자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왜 그렇게 소주를 좋아하는지 잘 모르겠다. 와인이나 위스키처럼 다른 풍미가 섞여 있는 것도 아닌 그저 쓴 희석한 알코올뿐인데 말이다. 숱한 경험을 통해 적당 ... ...
-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를 발견했다! 어떻게 해야 합리적으로 해결할까?2016.08.12
- “오랜 기간 동안 공들여 만들어온 스마트폰 게임을 드디어 앱스토어에 공개했다. 한 시간에 한 번씩 늘어나는 평가글에 정성껏 답글을 다는 중 이상한 평가글을 발견했다. 뭐? 내가 개발한 게임이 중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고? 난 중국까지 진출한 적이 없는데?!” pixabay 제공 (1) SW저작물의 등 ... ...
- [생활의 시선 24] 여행 생각2016.07.30
- 바야흐로 여름 휴가철이다. 우리는 프랑스인들처럼 그 기간이 무려 한 달가량이나 되는 바캉스를 즐기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3일이나, 길게는 5일 정도의 별도 휴가가 대부분의 직장인들에게 주어진다. 여름휴가가 휴일에 맞닿아 잡히면 5~9일간의 연이은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설문조사 기사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법령에 의해 지도하고 형벌에 의해 규제하면 백성들은 형벌만 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슨 짓을 하든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도덕에 의해 지도하고 예에 의해 규제하는 경우에는, 도덕적인 수치심을 갖고 더 나아가 바른 사람이 된다. - 공자, ‘논어’에서 소설가나 번역가의 직업병이 ... ...
- 당신의 이력서, 휴지통으로 직행? 문제는 이것! 2016.05.23
- 얼마전 전화 한통을 받았다. 이력서를 보냈는데 피드백을 받지 못했다는, 약간의 항의성 전화였다. 메일함을 보니 그분 이력서를 열어보기는 했는데 급히 외부에 나가느라 다녀와서 답신을 써야겠다 생각하고 도로 닫았다 잊어버린 모양이었다. 문제는 그 이력서 내용이 전혀 기억에 남지 않았다는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