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위치추적
지피에스
네비게이션
지피에쓰
스팅거골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위성항법시스템
d라이브러리
"
GPS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군사용
GPS
는 오차 범위가 10cm를 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터널처럼 하늘이 막혀서
GPS
가 작동하지 않는 곳을 움직일 때는 관성항법장치(INS)로 위치를 파악한다. 관성항법장치는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로 측정한 속도와 이동방향을 바탕으로 위치를 구한다. 일정 시간 동안 움직였을 때의 가속도를 ... ...
손바닥 안의 첨단 기술, 명함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는 스마트폰간의 충돌을 찾아 상대방의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해둔 정보를 전송해준다.
GPS
와 가속센서만 있다면 스마트폰이 달라도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종이 명함의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언젠가 디지털 명함이 종이 명함의 자리를 대체할까. 쉽게 명함이 사라질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과 수소(H2)의 함량이 10배 이상 갑자증가하기 시작했다. 2002년~2005년 위성위치확인시스템(
GPS
) 관측으로 천지 칼데라 호수 주변의 지형이 10cm 이상 팽창된 것을 발견했다. 이런 화산 전조현상이 2002년 6월 이후 급증했다. 2005년 말 이후 지진발생 빈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했으나 화산성 지진규모와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시설이지만 밝은 낮 먼 곳에서 바라보면 색깔과 모습 자체로 형상표지 시설처럼 쓰인다. D
GPS
단말기, 레이더 등을 갖추고 있는 전파표지 시설이자, 다급할 땐 큰 소리를 내는 음파표지시설이기도 하다. 바다 위의 종합안내시설이 유인등대인 셈이다.녹색 만나면 오른쪽, 적색 만나면 왼쪽육지에서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하지만 통돌이는 다르다. 통신만 유지되면 지구 반대편에 있어도 조종이 가능하다.
GPS
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다 무선 송수신 장비를 이용하면 컴퓨터 앞에서 게임용 콘트롤러(조이스틱)로도 조종할 수 있기 때문이다.더구나 통돌이는 비디오카메라가 달려 있어 실시간으로 항공영상을 지상의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일축했고, 이상철 박사도 오차가 m단위로 너무 커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GPS
위성은 초당 3회 정도만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축구공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할 수 없다.여러 가지 위치 추적 기술이 스포츠에 쓰이고 있지만 아직 그 어떤 기술도 축구에서 오심을 완전히 막기에는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필요하며, 유속을 고려해서 항해하는 배를 운항할 때도 벡터의 계산이 필요하다.또
GPS
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때 많이 쓰인다.이처럼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작은 곤충세계에도 그들만의 정교한 법칙과 원리가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를 생산한다.카자카리 교수는 “이 기술은 라디오파를 쓰는 센서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
GPS
)센서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며 “현재 휴대전화 수준의 휴대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북쪽으로 난 참호는 국군과 유엔군이 파놓은 것으로 보면 된다. 유해 발굴과정 보러가기
GPS
동원해 유해발굴 기록 남겨 국토의 70%가 산악지형인 데다 전투가 주로 산에서 벌어진 탓에 발굴은 대부분 높은 산에서 이뤄진다. 발굴 현장까지 매일 1~2시간씩 걸어 올라가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산양은 활동 범위가 좁은 편이라 능선 하나 정도를 맴돌 것이라고 생각돼 왔다. 하지만
GPS
로 추적한 결과 산양은 여러 개의 능선을 넘어다닐 뿐 아니라 군(郡) 경계도 옮겨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박사는 “자료가 어느 정도 쌓이면 그동안 어림잡아 파악해온 산양의 생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