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 세상에서 친구 사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거짓 신상정보로 자신을 소개하는 사람은 적지 않답니다. 사실 우리는 아리 언니가 중학생인지, 아니면 아저씨인지도 정확히 알 수 없어요. 물론 정말 좋은 사람일 수도 있고요. 하지만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르는 사람을 실제로 만나는 것을 조심해야겠죠. 또 우리는 ID나 닉네임에 이름이나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여행지는 전남 영암군에 있는 신북중학교예요. 김선옥 선생님이 1학년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과 테셀레이션을 이용해 나만의 티셔츠를 만든다고 하는데요.기자가 수업에 직접 참여해 티셔츠를 잘~ 만드는 꿀팁을 전수받았습니다! 테셀레이션이 가능한 모양은? 테셀레이션이란 한 가지 이상의 ... ...
- [특집] 논란의 그를 직접 만나봤습니다, 챗GPT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제 이름은 챗GPT, OpenAI의 언어 모델입니다. 저는 정보, 언어 번역, 글쓰기 등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저는 항상 배우며 지식을 업데이트합니다. ... 걸 금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뉴욕시 공립학교는 교내 네트워크와 기기를 활용해 학생과 교사가 챗GPT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차단했습니다 ...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각각 어떤 사람인지. 송유진은 한양대 사대부고 2학년. 새학기에 3학년이 되는 고등학생이다. 물리학과 철학, 그리고 소설을 아주 좋아하며, 공대생이 되는 게 지금의 목표다. 한편 ‘이무강’은 갑자기 생각난 이름을 필명으로 삼은 것이다. 가운데 글자인 없을 무(無)란 한자를 원래 좋아한다. 강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모델을 바꾸고 가다듬는 ‘피봇’ 단계가 여러 번 있었다고 말했다. 3번 연속이나 학생 창업 경진대회에 탈락하는 고배도 마셨다. 그러다가 이들의 레이더 망에 걸린 것이 제약바이오 분야였다. 일반 제약회사는 질병의 원인을 찾는 AI 솔루션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신약개발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다.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교수가 재학 중이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에서 수업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수리과학부 학생도 아니면서 수업을 듣고, 히로나카 수리과학부 교수와 거의 매일 점심을 함께 먹으며 이야기 나누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결국 수학에 매료돼 수리과학부 대학원에 진학하죠. 이후 히로나카 교수의 연구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그 문제를 풀면서 새로운 개념을 공부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Q. 수학을 잘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세요. 수학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 때 ‘이 문제는 천재들만 풀 수 있을 거다’, ‘나는 이 문제를 풀 수 없을 것이다’ 하는 이런 두려움보다는 ‘이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있고, 어떻게든 그 열정이 가리키는 곳을 향해 나아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환학생도 그 노력의 일환이고요. 그런 저의 이야기가 여러분의 열정 또한 자극할 수 있기를 조심스레 바라 봅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그럼 다음 화부터 본격적인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
- [융복합 파트너@DGIST] 퀘스터, 미션 깨는 가상 실험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추천하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잠시 고민하던 이 대표는 고개를 끄덕였다. “저희가 아직 학생 신분이란 걸 아는 분들은 모두 저희에게 호의적으로 대해주시고 또 많은 도움을 주셨어요. 어렵지 않게 도움을 청할 수 있다는 점은 처음 보는 퀘스트를 계속 깨야 하는 창업 과정에서 큰 힘이 됐습니다. ... ...
-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미국 뉴햄프셔대학교에서 수학 강사로 겨우 취직한다. 이곳에서 미적분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인기를 끌었고, 수업과 관련된 시간이 아닐 때엔 계속 정수론 연구에 매진했다. 2010년부터 여러 정수론 문제 중 쌍둥이 소수 추측에 집중하다가 2012년 친구 집에서 머물던 중 문득 문제를 풀 수 있는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