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시기와 절멸한 시기가 제각각이다(개성 넘치는 분류군 각각에 대한 설명은 44~45쪽 INSIDE 참조).그럼에도 해양파충류들은 서로 비슷한 점이 많다. 어떤 종류는 너무 비슷해서 친척관계로 오인될 정도다. 현재 학계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동물은 거북이다. 거북이 과연 어떤 파충류 집단에서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인식용 보안패턴, 입체자성패턴 등 다양한 위·변조 방지 신기술을 공개했다(박스 기사 참조). 모든 신기술은 한국조폐공사가 지금까지 축적해 온 요판(인쇄판) 제작술과 인쇄술, 그리고 스마트폰 앱 기술이 맞물려 개발됐다. 디자인과 IT기술이 만난 융합연구인 셈이다. 남세현 디자인연구센터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전까지 광학현미경은 200nm(1nm=10억 분의 1m)보다 작은 물체를 볼 수 없었다(아베 한계, PLUS 참조). 세포는 봤지만, 세포 소기관은 볼 수 없었고, 바이러스나 단백질은 꿈도 꿀 수 없었다. 수상자들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현미경의 해상도를 10배 가까이 끌어올려 이 한계를 뛰어넘은 것이다.학생기숙사에서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처럼 OR유전자가 많으면 훨씬 더 다양한 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48쪽 박스 기사 참조).코끼리는 이렇게 많은 유전자를 다 어디에 쓰는 걸까요. 연구팀은 “OR유전자 각각의 구체적인 기능은 아직 잘 모른다”며 “아프리카코끼리가 처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확산되면서 만들어진다. 지문처럼 개체마다 다르고, 평생 거의 바뀌지 않는다(아래 참조). 그렇다면 무늬를 자동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서로 다른 무늬를 죽 모아놓고 번호만 붙이면 되니 간단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만만치 않다. 야생동물이 스튜디오에서 증명사진 찍듯이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무기력해지고 손발에 힘이 없는 정도다. 원인도 모르고, 치료법도 없다(95쪽 박스 기사 참조). 확진할 수 있는 검사법조차 없다. 근전도검사 혈액검사 방사선검사 유전자검사 등 다양한 검사법이 동원되지만, 어디까지나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모든 검사를 마친 뒤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눈에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해도 신종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조차 없다(PLUS 참조). 이런 상황에서 아무리 신종헌터라지만, 새로운 종에 대한 감각이 있을까. "비과학적으로 보이기는 한데, 느낌이 와요. 현미경으로 관찰하다보면 직감적으로 신종을 알 수 있어요. 남들이 못 키우는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싱 링크라고 할 만한 신종들이 곳곳 에서 나타나면서 진화론을 지원하기 시작했다(PLUS 참조). 특 히 생존 환경이 거의 변하지 않는 심해나 고립된 섬은 중간 종 의 독특한 형태, 즉 서로 다른 두 생물이 갈라지기 직전의 원시적인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최적의 환경이었다. 바꿔 말하면 미 싱 링크를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벗어나려면일부 로봇 전문가는 윤리적 소프트웨어나 로봇윤리 로드맵(박스 기사 참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친다는 목표 자체가 인간적이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에볼라 항체를 생산한 담뱃잎을 갈아서 항체를 추출하면 끝이다(자세한 과정은 81쪽 참조). 지맵은 이런 방법으로 생산한 3가지 서로 다른 항체를 섞었다. 1개는 에볼라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고, 나머지 2개는 바이러스의 복제 및 증식을 억제한다. 지맵이 주목받으면서 식물공장으로 만드는 또다른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