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체
미루기
연체
지연시간
시간
연기
연
d라이브러리
"
지연
"(으)로 총 430건 검색되었습니다.
1. 만물의 법칙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전달된다는 개념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 중요한 결과다. 물론 거리가 매우 가깝다면 그
지연
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TV수신기는 방송국 송신기에서 나오는 전자기파(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자가 움직이는 것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화면에 뿌려준다. 아인슈타인, 중력과 전자기력 통합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형은 지구에 남은 쌍둥이 동생보다 나이를 적게 먹는다. 즉 운동하는 우주선에서는 시간
지연
이 일어난다. 하지만 특수상대성이론은 근본적으로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뒷받침하진 못한다. 왜냐하면 빛의 속도로 날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블랙홀이론이 등장하면서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 ...
Ⅱ.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은 전자의 본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갈 수 없는 뮤입자가 10km 이상 되는 지표면에 도달하는 것은 상대성이론에 따른 시간
지연
효과에 의한 것이다.실제로 매초 1개 정도씩 뮤입자가 여러분들의 머리를 뚫고 지나간다. 빗방울을 맞듯이 뮤입자를 맞고 있는 것을 상상해보라. 다행스럽게도 뮤입자의 질량은 전자보다 2백배나 무거워서 ... ...
새로운 차원의 오락 온라인 게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지연
도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둠과 같은 리얼타임 액션게임은 거의 생각도 못한다.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먼저 데이터를 압축해 전송하는 방법, 두번째로 라우팅 횟수를 줄이기 위해 전용망을 사용하거나, 또는 인터넷 접속서비스업체에 직접 연결해 서비스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프로그램 내장방식 컴퓨터로 완성되었다 이어 1951년에는 EDVAC가 등장했다 EDVAC는 수은
지연
회로에 의한 전용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어, 저장된 자료 및 명령어에 의하여 연산을 실행할 수 있었다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V)를 기준으로 +와 -전압 양쪽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쌍극성 또는 양극성이라고도 ... ...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반응을 촉진시키지만 오히려
지연
시키는 것도 있다 촉진시키는 것을 정(正)촉매,
지연
시키는 것을 역(逆)촉매라고 한다 메커니즘은 아직 대부분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전파가 전달될 때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전자파의 에너지량고등식물속에서 볼 수 있는 푸린 염기의 하나로 화학식은 ${C}_{8}$$ ... ...
마라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저장된다. 따라서 근육 내에 더 많은 글리코겐을 저장하면 에너지원 고갈에 따른 피로를
지연
시켜 지구성 운동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선수들은 시합 일정에 맞추어 가능한 많은 양의 글리코겐을 근육 내에 저장하기 위해 갖가지 시도를 해왔다.1960년대 중반 스웨덴의 저명한 운동생리학자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금세 사라지며, 통증이 가라앉으면 원래의 질환이 모호하게 돼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지연
된다.이 외에 많이 사용되는 진통제로는 마약성 제제들이 있다. 이는 약국에서 판매하지 않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병원에서 투여 받아야 하는데, 주로 수술을 받은 뒤 근육주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
Ⅰ. 지상은 초만원 땅속으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지하공간은 암반의 흡착에 의한
지연
효과와 이동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방사성 물질의 저장 및 처분에 적합하다. 핵폐기물 외에도 상품소비활동의 결과로 생긴 일반폐기물과 생활폐기물, 그리고 생산활동으로 생긴 산업폐기물 역시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리고 움직이는 시계는 정지해 있을 때보다 천천히 움직인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
지연
'이라고 한다. 이때 물체의 속도나 관측자의 속도가 빨라지면 이러한 현상은 점점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즉 길이는 점점 더 줄어 보이고 시간은 더욱 늘어나게 돼 그 속도가 빛의 속도가 되면 길이는 없어지고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