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만약 내일부터 내가 원하는 대로 인터넷을 쓸 수 없다면? 인터넷에서 보고 싶은 영상을 못 보고,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한다면? 1982년 한국 최초의 인터넷으로 평가받는 SDN이 설치된 지 40년이 지났지만, 망 사 용료 논쟁처럼 아직도 인터넷을 둘러싼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인터넷의 어떤 점이 문 ... ...
- [과동키즈] "우주에 수직농장 세울 겁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포켓몬빵 없습니다.”큼지막한 종이가 편의점마다 붙어있는 것을 보며 쓴웃음을 지은 적이 있다. 자의 반, 타의 반으로 TV보다 밤하늘을 올려다 보길 좋아했던 어린 시절이 생각나서다. 내가 한창 빠져있던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은 지금도 방영 중인 교양 프로그램 ‘6시 내고향’과 같은 ... ...
-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영화나 만화에서 보던 해저 도시에서의 삶을 떠올려 본 적이 있나요? 머지않아 2026년, 한국에서 그 모습을 직접 보게 될지도 몰라요! 지난 4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울산시가 울산 앞바다에 해저 도시를 본격적으로 짓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죠. 미래에 지어질 해저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 ...
- [기획] 겉바속촉 치킨 로봇이 튀겨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푸드테크 그 첫 번째는 로봇 요리사입니다. 지난 5월 9일, 사람 대신 로봇이 치킨을 튀기는 치킨 전문점 ‘롸버트치킨’을 취재했습니다. 로봇이 치킨을 튀기는 과정도 확인하고 맛도 봤지요. 로봇이 튀긴 치킨은 어떤 맛이냐고요? 바삭한 치킨을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밀가루를 입힌 치킨을 기름통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나 마이보처럼 탱탱한 피부를 갖고 싶다고? 훗, 그렇다면 이번엔 피부를 30년 젊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들려 주지! 이번 과학영상 읽어줌에선 랜선 여행을 통해 직접 만나보기 힘든 NASA 과학자의 일상을 들어보고, 과학수사 분야의 전문가를 만나 볼 거야! 30년 젊어지는 기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적 사고로 바라본 세상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여러분은 일상 생활 속에서 수학적 사고를 얼마나 하나요? 저는 수학 기자로서 나름 수학적 사고를 잘 한다고 생각했지만 요즘 제 주식 현황을 보면 잘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주식을 언제 팔아야 할지, 언제 사야 할지 쉽게 감이 오지 않거든요. 이 책은 뼛속까지 문과생이지만, 수학 덕후인 일 ...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어떤 기술은 우리 삶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옵니다. 우리는 그걸 ‘혁명’이라고 부릅니다. 농업 기술의 발견과 증기 기관의 발명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가장 최근에는 통신 기술도 우리 삶을 크게 바꿨습니다. 그렇다면 내일의 혁명을 이끌 기술은 무엇일까요. 그 답이 라이덴 클러스터에 숨어 있습 ... ...
- 2022 이그노벨상 I 당신이 생각도 못한 질문 답은 이그노벨상에 있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매년 10월이 되면 노벨 위원회는 과학계 최고의 영예를 갖는 노벨상을 발표한다. 노벨상의 창립자인 알프레드 노벨은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을 준 사람들에게 내 재산으로 기금을 마련해 상금으로 주겠다”는 유언을 남겼다.그렇다면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은 무엇일까. 이를 새롭게 해석한 ...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빠르게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엄청나게 쓰이는 전기 에너지와 이로 인한 기후위기와 해수면 상승.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장소 중 하나로 바닷속을 제시했어요. 해저 공간이 인류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거라고 해요. 바로 ‘해저 도시’죠. 한국은 해저 도시 선두주자지난 4월 13일, 한 ... ...
- [과학뉴스] 핫하다 못해 뜨거운 망 사용료 법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네이버나 카카오는 내고 있지만, 구글과 넷플릭스는 내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망 사용료다. 망 사용료는 인터넷 접속 및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내는 돈이다. 최근 논란이 되는 것은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요금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세계 최초로 망 사용료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