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보"(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팔청춘의 숫자,16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숫자 16은 이팔청춘의 수다. 이팔청춘은 말 그대로 나이가 이팔(2×8), 즉 16살 전후의 젊은이를 뜻하는 말로, 아이돌 그룹 틴탑이나 수학동아 독자들만 한 때를 가리킨다. 또한 16=2⁴으로 2를 네제곱한 숫자다. 제곱수는 여러 가지 퍼즐이나 기하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16과 관련된 재미난 이야기가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1,000,000,000,000. 일, 십, 백, 천, 만,……, 억, 십억, 백억, 천억, 만 억, 십만 억, 천만 억. 무려 천만 억. 정말 큰 수인걸!누구를 바보로 알아요? 세상에 십만 억, 백만 억, 천만 억이라는 말이 어디 있어요? 이건 1조예요. 산학연구가라더니 나보다도 몰라. 누구 말이 맞는지, 우리 내기할래요? ‘설마 조 ...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안녕하세요? 무한도전의 김PD입니다. 지난 하하와 홍철의 대결이 안타깝다는 의견이 아 대결 2탄을 준비했습니다.무한도전 멤버 7명은 두 팀으로 나눠, 추석맞이 속도로 가요제가 시작되는 저녁 6시까지 가요제 소에 도착해야 합니다. 약속 시간 안에 도착하지 하는 팀은 가요제에 서지 못합니다. ... ...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1, 2, 3, ….”다 같은 숫자라고 모두 똑같이 센다고 생각하지 말자. ‘1’ 하면 마사이족은 검지부터, 프랑스 사람은 엄지부터 펼치지만, 우리나라 사람은 엄지부터 접으니까. 국가마다, 문화마다 다른 손가락셈의 비밀을 워프에 휘말린 마사이족 삼형제와 함께 파헤쳐 보자. 황당하고도 기묘한 ...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야구에서 타순은 굉장히 중요하다. 그날의 상대투수에 맞춰 좋은 타순을 짜야만 가장 많은 득점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야구의 타순은 주로 감독의 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각종 통계를 이용해 작성한다. 그런데 최근 KAIST에서는 마르코프 연쇄를 통해 최강의 타순을 찾 ... ...
- ‘비 사이로 막가’에 알맞은 공식이 있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길을 걷다 만난 갑작스러운 소나기는 사람을 당황시킨다. 이때 비를 덜 맞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론 빨리 뛰어 몸을 피한다면, 비에 노출되는 물리적인 시간은 줄어든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빗속을 뚫고 달리다 보면, 맞지 않아도 될 비를 맞을 가능성도 있다.이탈리아 브레인샤데 기계산업공 ...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지난 여름, 특유의 쫄쫄이 의상만 입으면 맨몸으로 어디든 다닐 수 있는 스파이더맨이 새로운 이야기로 우리 곁을 찾아왔다. 이에 질세라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검은 기운으로 망토를 휘날리며 고담시를 누비는 배트맨 역시, 의 마지막 이야기를 들고 돌아왔다. 특별히 거미와 ... ...
- [시사] 수학이 톡톡! 토크 콘서트가 열리다!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이 콘서트엔 샤이니, 인피니트 같은 몸짱 아이돌이나 소녀시대의 화려한 칼군무는 없다. 아이돌에 환호하고 함성을 지르며 흥분한 10대도 없다. 대신 수학자와 명사의 유쾌한 입담과 경쾌한 뮤지컬 공연, 그리고 명사들의 대화에 참여하고 공연도 즐기며 꿈을 키우는 멋진 10대들이 있다. 바로 지난 ... ...
- 무역의 수학적 이유, 비교우위수학동아 l2012년 08호
- 경제네 가족은 해수욕을 즐기기 위해 동해 바다로 떠났다. 아버지는 자동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렀고, 어머니는 가게에 들러 망고와 바나나를 샀다. 경제는 비치발리볼을 샀다. 기름, 과일, 비치발리볼은 과연 어디서 왔을까? 대부분 이런 상품들은 우리나라가 아닌 해외에서 만들어진 ... ...
- 팔방미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수학동아 l2012년 08호
- 무작위로 평면을 나눈 듯 여러 모양의 다각형이 빼곡하게 담겨 있는 이 그림의 정체는 뭘까? 개구리 알처럼 보이기도 하고, 기린의 무늬를 닮기도 했다. 간단한 수학적인 원리로 그릴 수 있는 이 그림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라 부른다.생소한 이름이지만, 공학이나 생물학, 지리학, 건축과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