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도"(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일부분이 되기 때문에 비행체와 엔진을 결합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일본과 영국, 인도 등도 스크램제트엔진을 개발해 비행체에 달아 비행시험을 하고 있다.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건국대, KAIST, 부산대, 서울대, 한국항공대 등이 스크램제트엔진을 연구하고 있다. ... ...
- [Culture] 커피콩으로 와인 세계 첫 제조, 진짜 오리지널 제주 커피 재배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갖게 된다.생두를 발효시키면 커피의 맛과 향이 변한다는 사실이 눈에 들어왔다. 필자는 인도 몬순 커피의 생두를 발효시켜 새로운 커피를 만들어보기로 했다. 어떤 방식으로 커피를 발효시킬 수 있을까. 제주 전통 발효 음료인 ‘쉰다리’에서 답을 찾았다. 쉰다리는 제주도에서 남은 밥이 쉬기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있어 ‘바닷속 작은 우주’로도 불린다. 태평양에는 열수공이 수십 개 이상 존재하지만, 인도양에서 발견된 열수공은 이전까지 3개가 전부였다. 그리고 최근 네 번째 열수공을 이사부호 연구진이 찾아냈다. 그간 미국-일본, 독일-일본이 공동으로 찾아낸 것이 각각 1개, 그리고 중국이 찾아낸 1개가 ...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아쉽게도 “정해진 것 외에 다른 인터뷰는 꺼린다”고 했다. 김 기자와 같은 처지가 된 인도 기자는 서로 사진을 찍어 주고 마무리할 수밖에 없었다. 이메일로 궁금한 걸 묻겠다고 말했지만, 아직 답장은 오지 않았다. 시크의 아이콘 - 페터 숄체 개막식 하루 전, 대회장에서 가장 먼저 만난 ... ...
- [Issue] 기상이변 일으키는 태평양의 강력한 기후 엔진 ‘천의얼굴’ 엘니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날씨 현상이나, 연중 태양 복사 변화에 따른 계절 주기, 해양의 수십 년 주기 변화, 인도양과 대서양 등 다른 해양 분지와의 상호작용 등도 엘니뇨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로 엘니뇨 영향 더 강해져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인위적인 지구온난화가 심화되면서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하지만 점차 한랭해져 말기에는 빙하기와 간빙기를 반복했다. 중생대에 형성된 대서양과 인도양이 점차 넓어졌으며,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해 알프스산맥과 히말라야산맥이 만들어졌다. 이로써 전체적인 수륙 분포가 현재와 비슷해졌다. 초기에는 대형 유공충인 화폐석이 바다에 번성했다.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중심에는 세 개의 플루토늄(Pu) 구가 있다. 신디케이트는 플루토늄 구를 장착한 핵무기를 인도 카슈미트 지역에서 터뜨려, 지구 인구의 3분의 2가량을 방사선에 피폭시키겠다는 음모를 세운다.이중 두 개의 플루토늄 구는 핵폭탄에 장착이 되는데, 영화에서는 이 위력이 5Mt(메가톤·1Mt은 TNT 100만t의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8] 문화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인도인들이 주로 믿는 종교이기 때문에 인도와 힌두교 문화권은 대체로 일치한다. 인도인들이 소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도 힌두교에서 소를 신성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암소를 먹는 것을 금기시하고, 소를 벼농사에 필요한 노동력으로만 사용한다.아울러 힌두교 문화권에는 사람들의 계급을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2. 만줄 바르가바 ●장난감에서 영감 받는 수학자 스승님이요? 수학하다 지치면 인도 전통 악기인 타블라나 피아노를 치면서 스트레스를 푸세요. 누구든 질문하면 자상하게 대답해주시죠. 어린아이의 말도 귀 기울여 듣고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수학을 설명해주세요. 수학을 쉽게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세계적으로 실용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 6개국에 불과하다. 한국형발사체가 성공한다면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전환점이 된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발사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