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셀탐구생활] 제 9장 어긋난 스승과 제자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이 문장에 대응할 그림을 그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지요. 네덜란드에서의 만남
이후
러셀은 비트겐슈타인과 조금씩 거리가 멀어졌습니다. 의 중요성을 인정한 러셀은 비트겐슈타인이 그의 저술을 출판할 수 있도록 추천사를 써주고 출판사를 알아봐주었지만, 인간관계만 놓고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가지고 있는 각각의 스핀이 상호작용한 결과 서로 자석처럼 끌어당겨 스핀쌍을 이루고,
이후
에 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하가 결합해 쿠퍼쌍을 만든다는 이론이다. LK-99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그렇다면 논란이 된 LK-99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LK-99를 제작한 퀀텀에너지연구소는 올해 4월 한국결정성장 ... ...
[최신 이슈] 우리 집 외동 식물 산세베리아, 반려식물병원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곁에 뒀는데 이파리 중 2개가 창에 닿아 화상을 입었다. 잎이 탄 것이다. 식집사는 “
이후
로 3년이 지났는데 한 번도 꽃이 안 폈다. 죽은 건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작은 선인장 환자는 어느 날 줄기에서 새로운 잎이 자라기 시작했다. 그런데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는 것처럼 새로 자란 잎은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과거 뇌종양 진단은 위치와 발생기원 세포, 병리학적 단계로 나눠 진행됐다. 그런데
이후
의 연구들을 통해 2016년부터는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통해 진단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아뇌종양과 성인뇌종양은 암세포가 발생하는 위치에서 큰 차이가 있다. 소아뇌종양은 주로 뇌의 가운데 부위인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9호
거의 없고, 지구 질량★의 약 정도로 가벼워요. 화성에 물이 흘렀던 흔적을 발견한
이후
로 화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으려는 탐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답니다. 용어 설명정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주변의 환경을 살피는 일이에요. 부채꼴★ 원에서 두 개의 반지름과 하나의 호로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대학생임에도 불구하고 학회지에 실리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해석기하에 입문했어요. 그
이후
3학년 1학기에 학교로 돌아가 해석기하 수업과 세미나를 많이 들으면서 기하적인 도구로 위상 문제를 풀어내는 매력에 더 푹 빠졌죠. 전 두 가지 꿈이 있어요. 하나는 해석기하 분야에서 난제를 풀거나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1646~1716)를 빼놓을 수 없을 텐데요. 페르마와 데카르트
이후
에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어떻게 미적분을 확립하고 발전시켰나요? 인문학자 : 둘은 그전까지 발견된 수학을 종합해서 발전시켜 미적분학을 꽃피우게 했습니다. 그런데도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학의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얻는 분광관측을 실시해 적색이동 값을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최초 계획 수립
이후
거의 40년의 우여곡절 끝에 발사된 제임스 웹은 지난 1년 간 우주에 대한 여러 가지 놀라운 사실들을 알려줬다. 계획 당시 존재 자체가 의심스러웠던 초기우주 은하의 모습을 확실히 보여주는 한편, 기대 이상으로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새로운 mRNA 백신을 개발할 때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남 교수는 “팬데믹
이후
로 이 분야 연구자가 많이 생기면서 연구가 활발해졌다”면서 “한국도 곧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는 mRNA 백신 기술의 발전을 앞당겼다. 그렇게 성장한 기술이 다시 ... ...
[논문탐독] 시간이 흐르지 않아도 늙는다? 이질성 혈액교환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선구적 연구로 베르는 1866년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실험생리학상을 받습니다.
이후
병체결합 모델은 1966년 프랜시스 라우스가 종양 발생 바이러스를 발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는 데, 더글러스 콜먼과 제프리 프리드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가 식욕과 체중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렙틴을 발견해 201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