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리서치
리써치
설문
설문지조사
여론조사
폴
d라이브러리
"
설문조사
"(으)로 총 39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중에서 10년 후에 실용화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골라주세요.” 학생이 지역사회에 나가
설문조사
를 하는 문항 중 하나다. 설문 문항은 학생의 태블릿 PC에 들어있고 답은 응답자가 보기 중에서 선택하거나 글로 쓴다.결과는 학교의 서버로 자동 전송돼 그래픽으로 정리된다. 각자 태블릿 PC에서 ... ...
월드컵 8강서 브라질과 승부차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예측하는 제대로 된 방법일까.펠레의 저주 vs 수학공식과학적인 예측을 하는 사람도
설문조사
를 이용해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 특정분야의 전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보통 전문가 설문방법을 동원한다. 가령 한국팀의 독일월드컵 성적을 축구전문가인 국내 K리그 감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식이다 ... ...
차원이 다른 과학 길잡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과학 공부가 싫어요."한국과학문화재단이 2004년 실시한 “가장 싫어하는 과목”
설문조사
에서 과학은 수학에 이어 ‘당당히’ 2등으로 꼽혔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을 싫어하는 학생들이 늘어났다.학생들이 과학에 재미를 붙이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현직 과학교사 4명이 입을 모아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긴 겨울 방학이 끝나고 드디어 신나는 개학이에요. 오랜만에 반가운 친구들을 다시 만나고, 또 한 달 뒤면 새 학기라니 마음이 설레지요? 그런데 몸이 이상해졌다고요? 춥다고 밖에도 잘 안 나가고, 맛있는 과자를 실컷 먹으며 게임만 해서 몸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닐까요? 움직이기도 귀찮고 뚱뚱해 ... ...
성폭행범 귀에 경 읽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대한비뇨기과개원의협의회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를 보면 응답자 74명 중 절반이 넘는 57%가 호르몬 조절을 통한 성욕 억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성욕 억제는 성폭행 재범을 막는 최소한’이라는 이유가 30명으로 가장 많았다.서울탑비뇨기과 조규선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것처럼 느껴지면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 호주 당뇨병전문의 앨런 스토크스 박사도
설문조사
를 통해 주인이 저혈당 발작을 일으켰을 때 옆에 있던 개의 68%가 행동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해 ‘하이포글리세미아지’에 발표했다. 그는 개가 저혈당 환자의 땀에 포함된 아주 적은 양의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은 단지 냄새나고 열등한 신체 기관이기만 할까. 26개의 크고 작은 뼈로 구성된 발. 평생 20만~40만km를 이동하고 3억번 가량 굽혔다가 펴도 이상이 없을정도로 튼튼하다. 하지만 발에 대한 관심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지난 10월 28일, 29일 이틀간 전주대에서 열린 '2005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대형오징어를 처음으로 촬영했다. 연구팀은 일본 남부 보난섬 부근에서 8m 길이의 대형오징어가 먹이를 공격하는 순간을 찍었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HAL)처럼 컴퓨터일 수 ... ...
도둑 발목 잡는 철통보안 동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연간 주거침입절도범죄가 1997년 12만건에서 2000년 8만6000건으로 감소했다. 또 시민들의
설문조사
결과 향후 내집 마련은 셉테드가 적용된 주택을 희망하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미국 웨스턴행동과학연구소(WBSI) 실험 결과 24시간 편의점의 강도범죄 방지를 위한 셉테드 기법 시행 후 비교대상 ... ...
뒤지지 않는 항공우주 자존심 - 유럽우주국(ESA)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쾌거다. 과학기술 앰배서더로 활동하고 있는 국내 과학기술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에서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로 아인슈타인이, 살아 있는 한국과학자로는 황우석 교수가 꼽혔다(과학동아 8월호 참조). 최근 전세계에 일고 있는 황우석 신드롬에 한국 과학자들도 예외가 아님을 알 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