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덕행
자선
앞섬
덕
선
윗자리
상위
d라이브러리
"
선행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동안 수행해오던 것이지만, 미량의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선행
돼야 새로운 것을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추출하기 쉽도록 다량 존재하는 단백질들은 거의 다 밝혀진 셈이기 때문이다.둘째는 기존의 단백질을 변형해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성능을 높이는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파악하거나 그 진화과정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력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
돼야 한다.이 우주에는 네가지 힘이 존재한다. 즉 중력 전자기력 그리고 두가지 종류의 핵력이 바로 그것이다. 그 중 우주와 같은 거시 세계에서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전자기력이다. 물론 핵력이 우주의 진화와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무게를 지니면서도 현실을 그대로 재생한 듯이 고도의 화상을 보여주는 HDTV의 개발이
선행
돼야 할 과제다.또한 '보행통로시스템'에서 소개한 인공적인 체성감각의 실현은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문제는 마치 사람을 닮은 로봇을 설계하는 것 만큼 접근하기가 어렵다. 사람의 손동작 등 ... ...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이상 그것을 총합하고 있는 생물권이라는 개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무엇보다
선행
돼야 한다. 물론 저마다 생물권에 대해 서로 다른 그림을 그린다. 실제로 생물권에 관한한 우리는 장님수준에 머물러 있다.생물권Ⅱ의 설립과 연구는 곧 생물권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시도다. 자명한 것은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원래대로 펴진다.본격적인 경화처리를 하기 전에 판재의 현상태를 알아내는 일이
선행
돼야 한다. 먼저 가는 생장추로 판재의 구멍을 뚫어 표본을 채취한 뒤 함수율과 부식정도를 점검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 결과 신안선 판재의 위에서 3㎝까지는 1백68%의 함수율을 보여 정상적인 마미송의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자기학습 기술 등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 구현하려면 초병렬컴퓨터 등이
선행
돼야 한다. 자기증식칩이 실현된다면 '판단하는 컴퓨터'의 등장은 어렵지 않은 일.뉴럴컴퓨터란 뇌를 구성하고 있는 신경세포와 신경회로망의 구조와 정보처리기능을 모델로 해 고도의 정보처리를 ... ...
옛 영화의 복원 노리는 전기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앞으로 본격적인 전기자동차시대를 맞기 위해서는 고성능배터리의 개발이 무엇보다
선행
돼야 할 것이다.전기자동차의 대당 가격은 현재 정확하게 말할 수 없다. 아마도 완전히 실용화돼 양산체제를 갖출 때까지는 비싼 가격에 팔릴 것이다. 당분간은 주문을 받아 제한적으로 생산할 것이고 또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갖지 못한 약점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종합적인 우리 실정에 대한 파악이
선행
되지 않는다면 고속전철에서도 이러한 비극을 되풀이 하지 말란 법도 없다.18개 단체에서 인원을 차출했다는 경부고속전철 사업기획단의 인적구성만 봐도 전문 기술인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행정에 관련된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글씨나 도형을 컴퓨터가 오차없이 인식, 해석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선행
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어디까지 작아질 것인가?데스크톱에서 랩톱으로, 다시 노트북에서 팜톱으로 이어지는 축소지향적인 PC들의 기술적인 한계는 어디인가. 축소지향적인 PC일수록 용도는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준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단백질 자체 분자구조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이해가
선행
돼야 한다. 그러므로 단백질 연구의 발전은 역사적으로 볼 때 구조연구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1900년대 초에 피셔(Fischer)와 호프마이스터(Hofmeister)가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들 사이의 화학결합이 펩티드(peptide)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