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리지날
원시
최초
고유
자체
정통
원조
d라이브러리
"
본래
"(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생명체에서 유전자 변형과 전이가 일어날 가능성과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이다.박테리아는
본래
의 염색체에 ‘플라스미드’라 불리는 소형 유전자집합체를 보유하는데, 특정 조건에서 이 플라스미드를 세포 밖으로 뱉거나 안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즉 원한다면 남의 유전자를 임의로 소유할 수 있는 ... ...
손으로 말해요! 수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것!수학에서 닮음이란 ‘한 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해 얻은 새로운 도형이
본래
의 도형과 닮은 것’을 의미한다. 이때 닮은 두 도형은 대응각의 크기가 같고, 각 대응변의 길이의 비가 같다는 성질을 지닌다.실제 ‘자음 ㄴ’과 ‘ㄴ을 나타내는 지문자’의 형태를 비교해 보면, 각각의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임플란트’를 빠진 치아를 대체하는 인공 치아를 뜻하는 말로 쓴다. 하지만
본래
의미는 신체에 이식하는 기관(또는 조직)의 대체물이나 기계장치란 뜻이다. 아직 뇌 기능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임플란트는 없지만 뇌기능 조절이나 뇌질환 치료를 위한 브레인 임플란트 장치는 이미 30여 년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알려져 있는 생태 공원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난무한 개발로 인해 훼손된 지역을
본래
의 상태로 돌려놓는 것이지요. 또 하나의 방법은 현재 인천 송도신도시를 예로 들 수 있는 수로 시스템입니다. 도시 한가운데 수로를 만들어 도시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심각한 폭염으로부터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대지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이 줄어들어, 시베리아 고기압은 더 세지기 때문이다.
본래
겨울에는 중위도 지역의 기압이 시베리아보다 높다. 이 기압차가 바로 시베리아의 찬 공기를 막아주는 북극 진동이다. 그러나 눈 때문에 시베리아 지역의 기압이 높아지면 기압 차이가 상대적으로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그러나 원자번호 9번의 이름을 ‘플루오린’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는 복잡하다.
본래
형석(fluorite)이라는 이름은 형석을 철광석과 섞어 가열하면 철광석이 쉽게 녹아서 흘러내리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었다. 그런데 결정 구조에 극미량의 불순물이 섞여있는 형석은 자외선을 받으면 푸른색의 빛을 ... ...
TV도 자동차도 늘씬날씬~, 뚱뚱이의 다이어트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세탁기를 보니 정말 매력적이야.달라진 건 몸매뿐이 아니야. 나와 올레드 TV처럼
본래
보다 기능이 좋아진 것도 많거든. 또 크기가 작고 얇으면 들고 다닐 수 있으니까 그만큼 사용할 수 있는 시간도 길어지잖아. 게다가 수천 권의 책과 수만 가지 음악처럼 엄청난 자료를 한곳에 담을 수 있으니 얼마나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시기랍니다. 독립한 뒤 새로운 짝을 찾고 굴을 파서 집을 짓고 짝짓기를 하는 거지요.
본래
독립을 하고 나면 수컷 한 마리가 배우자가 될 암컷 한 마리를 만나서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2~6마리 정도 낳습니다. 여우 가족에게는 엄마, 아빠, 새끼 말고도 새끼를 돌봐주는 암컷 보모가 2~4마리 있기도 ... ...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과일이 썩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조미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박사는 “과일이
본래
가지는 당도는 때리거나 충격을 준다고 해서 변하지 않는다”며 “전분이 당으로 덜 바뀌었을 때는 에틸렌이 빠른 속도로 숙성시켜 주기 때문에 처음보다 더 달게 변할 수는 있다”라고 설명했다.신선한 ... ...
[에필로그] 변신+합체. 천사의 날개를 진화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새의 부리 길이를 비롯한 다양한 동물의 다른 모습, 즉 이형이 실려 있어. 이형은 자연이
본래
가지고 있는 여러 가능성의 표현일 뿐이라는 분석과 함께. 이들은 시대와 환경만 맞았다면 ‘정상’이 됐을지 모르지. 앞다리가 없이 태어난 너도 서서 걷는 염소가 더 각광받는 세상에서는 ‘정상’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