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분자가 전자를 얻어 전기적으로 음(-)의 전하를 띠는 물질이에요. 음이온이 있는 공기가
면역
력을 높이고 통증을 줄이며 알레르기를 개선한다는 이유로 1990년대부터 음이온 제품이 인기를 끌었지만 과학적인 근거는 없어요. 문제는 음이온을 만들기 위해 쓴 모나자이트에서 라돈이 나온다는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돌아갔다. 암세포 자체를 제거하려고 한 기존 치료법과 달리 이들은 암 환자의
면역
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 특히 ‘2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표적항암제’는 현재 가장 많이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종양학’이라는 분야가 아예 따로 생겼어요. 얼마 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
면역
항암제’와도 관련 있는 분야입니다. 저 같은 수학자는 실제 종양이 어떻게 자라는지 수학을 통해 시뮬레이션 하거나 종양의 원인을 수학 모형을 이용해 찾아냅니다. 제 연구와 튜링 모형이 직접적으로 관련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퍼듀대 약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
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limsoe@purdue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점은 상처 등을 통해 체액이 직접 교환돼야 감염된다는 것이다. 이런 병원체로는 인간
면역
결핍바이러스(HIV)나 매독균 등 성병 관련 병원체가 있다. 이들은 주로 체액 등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다만 이는 야귀의 특징인 짧은 잠복기에는 들어맞지 않는다. HIV는 감염 이후 길게는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현대 인류에게 남아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총 152개이며, 이 유전자가 모두 인간
면역
결핍바이러스(HIV)와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 모든 RNA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들이 만들어내는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직접 맞서 싸우거나, 세포 단백질의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증상을 호소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글루텐을 비롯한 밀 속 단백질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유력한 용의자로 꼽힌다. 이와 같은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평생 쌀이나 보리로 만든, 글루텐이 없는 빵을 먹을 수밖에 없다. 같은 빵이지만 밀가루 빵과는 식감이 확연히 다르다. 서 교수는 ... ...
2018 노벨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소개한다. INTRO. 2018 노벨상PART 1.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PART 2.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PART 3.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PART 4. 효모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후반에는 생화학 분야가 압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의학상도 과거에는
면역
학과 병리학이 주요 수상 분야였지만, 20세기 후반에는 생화학 분야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 정책연구팀장은 “화학은 성분의 구조와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인 만큼 물리학이나 생물학 등 다른 분야와의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한계가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는 인간 항체와는 서열이 달라 거부반응인
면역
원성(immunogenicity)이 발생한다. 당시 밀스테인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를 진행하던 윈터 연구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원에 결합하는 부위만 동물의 것을 사용하고 나머지 부위는 모두 인간에서 유래한 것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