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장"(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특정 부위만 검색하기 때문이다. 김상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시료가 훼손됐을 때나 초기감염처럼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몇 가지 검사를 더 한다. 간접면역형광항체법(IFA),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들어간 사례가 손에 꼽고, 그나마 초기 단계다. 김동욱 줄기세포기반 신약개발연구단장은 “배아줄기세포와 iPS는 짧아야 5년, 길면 20년까지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계 2등, 그런데 해외원정 시술? 우리나라 환자들이 외국으로 나가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상 반응인데 모르고 지나가는 실수가 일어난다.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KMPC) 단장인 성제경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정상인 줄 알고 넘어갔는데, 쥐의 일생에 걸쳐서 관찰해보면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며 “유전자의 숨겨진 기능을 발견하는 게 마우스병원의 가장 중요한 ... ...
- 작은 도서관으로 꽃피우는 독서 문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되겠다며 흔쾌히 허락했다”고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효과는 분명하다. 새학기를 맞아 단장한 교실에 책꽂이가 들어서면서 독서 문화의 싹이 보이고 있다. 담당 학급에 직접 작은 도서관을 선물한 김현정 경주고 교사는 “책꽂이와 책을 갖다놓자마자 학생들이 호기심을 갖고 과학동아와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헬로우! 마이 네임 이즈 로보캅. 여러분, 저 로보캅이 돌아왔습니다! 새로 개봉한 영화는 물론 보셨지요? 지난 1987년, 제가 처음 영화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저와 같은 사이보그는 있을 수 없는 가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2014년 현재, 로봇공학자들은 사이보그를 만드는 일이 불가능하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능력이 입증된 세 번째 조류가 됐다(나머지 둘은 까마귀와 지빠귀 류다). 거울 보고 몸 단장한다까치는 거울에 비친 자신도 인식한다. 영장류 등 극히 일부 포유류에게서만 밝혀진 능력이며 조류 중에는 유일하게 까치만 밝혀져 있다.독일 괴테대 연구팀은 2008년, 까치 자신에게는 보이지 않는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압니다. 하지만 그 짚더미가 어디에 있는지 안다면 얘기는 달라지지요.”세메르치디스 단장이 인자하던 눈을 반짝, 크게 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는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BRIDGE 전쟁, 학문을 낳다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있는 무거운 원소가 우주에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조차 모르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초신성이 폭발해 만들어진 중성자별에서 중성자를 얻어 생겼다는 가설이 있는데, 지금껏 관찰은 물론 실험조차 할 수 없어 검증된 적이 없다”며 “라온으로 직접 만들어 중간 과정까지 검증할 수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엣취~, 코가 간지럽고 콧물도 나고 하루 종일 재채기도 멈추질 않아. 병원에 갔더니 의사선생님이 감기가 아니라 알레르기성 비염이래. 알레르기성 비염이 왜 생겼냐고? 요즘 공기 중에 미세먼지 농도는 높아지고 스모그도 자주 일어나서 그런 거래. 그러고 보니 도시 전체가 뿌옇게 변해서 앞이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해방돼 내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겠구나’란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단다. “IBS 단장으로 선정됐을 때 소풍가는 어린애 같이 기뻤습니다. 명예나 그런 것 때문은 절대 아닙니다. 내가 하고 싶은 연구를 이제야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과 그 연구를 통해 사람들에게 유익함을 돌려줄 수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