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끈"(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앗! 나의 실수 운동화 끈은 왜 자꾸 풀리는 거야?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찾아 조깅을 시작한다. 하지만 뛰는 중간에 운동화 끈이 자꾸만 풀려 안나를 괴롭힌다. 쪼그려앉아 운동화 끈을 매 보지만, 살짝 잡아당기기만 해도 금세 풀리고 마는데…. 바로 여기에 안나의 실수가 있다 ...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유저들을 로그인하게 만드는 동시에 많은 친구들을 찾아보는 페이지로 자연스럽게 이끈다. 페이스북에 매일매일 접속하는 무서운 습관을 아주 단순한 도화선이 만들어낸 것이다. 포그는 페이스북의 성공에는 게임적 디자인이 숨어 있다고 설명한다.이밖에도 게임 디자인의 현실 성공 사례는 ...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곰팡이도 점점 달라지고 있어요. 메주곰팡이의 신상을 빨리 밝혀야겠다는 의지가 불끈 돋습니다!”몇 년 뒤에는 깊은 맛 된장, 담백한 맛 된장, 구수한 맛 된장, 단맛 된장처럼 다양한 장맛을 골라 먹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벌써부터 입 안에 침이 고입니다! 메주곰팡이들의 정확한 이름을 지어주고 ...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번식한 곳이랍니다!간질간질, 콜록콜록! 분비물 비상사태!으~, 역시 지저분해~! 끈끈하고 더럽고, 게다가 냄새까지! 잠깐 동안 분비물에 호기심이 좀 생겼었는데, 역시 분비물은 없는 게 좋을 것 같아요~.흠~, 그래? 분비물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모르는군! 하지만 뭐~, 네가 원하는 거니까, ...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축구화 끈은 폴리에스테르와 면을 반반씩 섞어 끈의 마찰력을 높였고, 그 결과 경기 중에 끈을 다시 묶는 일이 없어졌답니다. 육상의 최고 도우미는 신발!육상도 신발 과학의 효과를 톡톡히 보는 스포츠 분야예요. 단거리를 달리는 선수들은 튕겨나가는 힘이 좋고, 가벼운 신발을 신는답니다. 또 ...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설명하려면 4차원 정도가 아니라 11차원이 필요하다.심지어 모든 것을 설명해내려는 초끈이론은 26차원을 요구한다. 하룻밤의 기적을 일으키는 산타는 이렇게 다차원의 초공간을 이용하는 건지도 모른다.이 경우에도 어느 범위까지는 소시지처럼 한 줄로 늘어세우는 게 좋은 방법일까. 불행히도 ...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1경t이며 빛의 속도의 99.999999996% 이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한히 평행한 두 우주끈이 존재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중이에요.요상한 외모에 깜짝!마치 공상과학 영화의 주인공처럼 생긴 외모로 시선을 끈 동물들도 있어요. 희귀동물이지만 웬지 낯설지 않은 동물들을 소개할게요! 우리 닮았나요? 요다 닮은 희귀종 박쥐영화 ‘스타워즈’의 요다를 닮은 박쥐예요! 파푸아뉴기니의 외딴 숲에서 발견된 희귀종으로,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남은 문제 우주 이해는 이제 시작흔히 초끈이론이 중력의 양자화에 성공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시작일 뿐이다. 이제 겨우 양자원리와 중력을 한 건물 안에 집어넣는 데는 성공했으나, 그 건물의 무한히 복잡한 평면도를 제대로 본 적은 한번도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10호
- 1DNA앱타머로 비소 제거 앱타머는 DNA나 RNA, 펩타이드로 된 한 가닥 끈 모양의 물질이다. 앱타머의 구조는 매우 다양한데, 모양에 따라 특정 물질에 잘 달라붙는다. 이 성질을 이용해 물 속의 비소와 같은 중금속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한 국내 과학자가 있다. 민지호 전북대 화학공학부 교수와 김양훈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